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당
편
동아리
학교
기준 타수
파라미터
미터
d라이브러리
"
파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축제에 웬 귀신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방법도 있을까요? 한 예로 ‘디가우징’이라는 방법은 디지털 기기에 저장된 모든
파
일을 없앨 수 있어요. 디가우징은 플래터가 자석의 성질로 정보를 저장한다는 원리를 이용해요. 즉, 강력한 자석을 이용해 플래터에 배열된 산화철들을 모두 흐트려 놓는답니다 ... ...
[매스미디어] 스
파
이더맨 :
파
프롬 홈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24시간 동안 조회수 1억 3500만 회를 기록했다는 소식 들었어? 그 정도로 다들 나 스
파
이더맨을 기다리고 있나 봐. 한층 더 성장한 내 모습과 놀랄만한 내용이 숨겨져 있으니 꼭 극장에서 만나 ... ...
상어가족, 백상아리만 있는 게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로렌치니병이 아래쪽에 많다. 덕분에 모래 속에 숨은 물고기가 내뿜는 약한 전자기
파
도 감지해낸다. 다른 상어에게는 거의 불가능한 재주다. 가장 센 상어는? ☞ 백상아리 백상아리는 포식자 상어 중 가장 크고 속도도 시속 60km로 빠르다. 3000m 이상 떨어진 물개 무리의 냄새를 맡을 정도로 뛰어난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전달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이번에는 이노신에 산소를 붙여보기로 했다.
파
우너 교수의 연구에서 이노신에 산소가 붙은 화합물도 발견됐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이 실험을 왜 하는지 납득이 가지 않았다. 이미 아데노신에 산소가 붙었을 때 복제를 못한다는 걸 알아냈기 때문이다. 그런데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김 원장은 “그간 근육의 움직임을 확인해 구강 내에서 혀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파
악하기 어려웠다”며 “최근 ‘실시간 자기공명영상(real time MRI)’ 기법이 발전하면서 혀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실시간 자기공명영상 기법은 MRI를 이용한 인체 촬영 이미지를 ... ...
원시 고래는 네 발로 헤엄쳤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벨기에왕립자연사박물관의 척추 고생물학자인 올리비에 램버트 박사는 “페레고세투스
파
시피쿠스와 현생 고래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원시 고래 화석들을 찾아 분석하면 고래가 전 세계 바다로 퍼질 수 있었던 경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cub.2019.02.05 ... ...
김민형|전 국민을 수학과 사랑에 빠트리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강연과 집필 활동을 이어가는 이유를 재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수학을 대중에게 전
파
하겠다는 사회적 의무보다는, 수학으로 세상을 배우는 즐거움을 함께 나누는 목적이 크다는 것이다. 대화 중에 듣는 이가 정말 신기하다는 표정을 하거나, 새로운 걸 이해한 눈빛을 보이면 더 큰 즐거움을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임명됐다. 정치에 타고난 능력이 있었던 걸까. 그의 마지막 말에는 그가 가진
파
워의 힌트가 있었다. “과학자의 언어와 정치인의 언어는 조금 다른 것 같아요. 과학자들은 70~80% 심증이 있어도 절대 확정적으로 말하지 않으니까요. 아직도 적응하는 중입니다. (웃음) 저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의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스타처럼 반짝이는 또 다른 인공물체도 발사가 예정돼 있다. 미국 예술가인 트레버
파
글렌과 네바다박물관이 만든 ‘오비탈 리플렉터(Orbital Reflector)’다. 2018년 12월 발사 예정이었지만, 미국 연방정부 업무정지(셧다운)로 미뤄졌다. 과학자들은 이들의 발표에 우주쓰레기를 늘릴 뿐이라며 냉담한 ... ...
Part 3. 올림픽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최초의 올림픽으로 꼽혀요.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렸던 ‘요빅 캐버른홀’은 동굴을
파
지어졌지요. 산지가 대부분인 릴레함메르에서 나무를 벌목하는 대신 바위를 뚫어 생태계 훼손을 줄인 거예요. 또 동굴 경기장은 일 년 내내 비슷한 온도가 유지돼 에너지 사용량도 훨씬 적답니다. 2000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