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파"(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다시 쓰는 고고학, 아라가야에 숨겨진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Stage2.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Stage3. 유적의 연대를 파악하라Stage4. 위치 정보로 과거의 사건을 재구성 하라 도움 민수(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조사부 팀장), 조명래(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조사부 과장), 강동석(문화재청 고고연구실 학예연구관), 김장석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아직 심사 중”이라고 말했다.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총 6종(콩, 옥수수, 면화, 카놀라, 알팔파, 사탕무)의 작물만 적용 GMO로 수입 가능하다. 주로 콩과 옥수수를 많이 수입하는데, 콩으로는 식용유를, 옥수수로는 전분이나 당을 만든다. 박 교수는 “이미 많은 사람이 여러 형태로 GMO를 섭취하고 ... ...
- [수학기자의 책장] 수학을 즐기게 만드는 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내용을 찾게 될 것이다”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에서 수학대중화상을 받은 아드리안 파엔자의 말입니다. 복잡한 수학 이론을 구구절절 설명하는 것보다 흥미로운 소재를 통해 수학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라는 뜻이죠.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앰배서더로 활동하는 저자인 김종락 ... ...
- [실전! 반려동물] 거북의 등딱지가 파였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물과 육지를 왔다 갔다 하는 거북 종은 수질이 나빠지면 등딱지의 특정 부분이 파여 들어가는 ‘등딱지썩음병’에 걸릴수 있습니다. 상처 부위가 좁고 증세가 심하지 않을 경우 등딱지의 물기를 닦아낸 후, 빨간 요오드 용액을 바르는 것으로도 금세 나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세가 심하면 꼭 ... ...
- [현장취재] 지구사랑탐사대, 백두대간에서 생물의 흔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받아 쌍안경으로 멀리 앉아 있는 새를 관찰하고, 바닥에 떨어진 깃털을 주웠답니다. 파피루스 팀의 황지윤 대원(강원 솔샘초)은 “조류 탐사에서 주운 노랑할미새 가슴깃털의 오묘한 색을 보고 신비로운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어요. 모든 탐사를 마친 대원들은 각 조별로 미션 카드를 작성했어요.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친구에게 생일 축하 노래를♬ 기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비슷하게 ‘파’, ‘라’, ‘도’를 동시에 누르면 F 코드를, ‘솔’, ‘시’, ‘레’, ‘파’를 누르면 G7 코드를 연주할 수 있지요.우리는 토이콘 창고에서 도부터 시까지의 음을 내는 노드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AND’ 명령을 사용해서 조이콘의 버튼과 화면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원하는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승부차기 게임, 이강인선수처럼 멋지게 골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막았을 때 출력하는 소리 노드로 이어져요. 골이 들어가면 ‘레’ 음이, 골을 막으면 ‘파’ 음이 나도록 만들어져 있죠.두 조이콘에서 AND 노드로 입력된 명령이 조건에 맞을 때에만 소리가 난답니다.우리는 토이콘 창고에서 AND 노드를 썼지만, 프로그래머들은 AND 말고도 ‘OR’, ‘NAND’, ‘NOR’ 등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시작했다. 자각하지 못한 채 여기저기 퍼져있던 정보가 수동이 안에서 깨어난 것이다. 파아아앗~! 데이터는 근래에 갑자기 등장한 마법의 도구가 아니에요. 인류는 끊임없이 정보를 주고받아 왔고 데이터를 분석한 것 역시 새로운 일이 아니죠. 그런데 왜 ‘지금’ 우리는 진정한 빅데이터 시대를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는데, 새 알고리듬으로 물방울을 격자로 옮겨 더 자연스러운 파도를 만들어낸 거지. 불과 바람의 표현은 ‘등위집합’으로우리는 물, 불, 바람, 땅의 정령을 만나 위기에 빠져. 이 장면 역시 수학의 힘으로 만들어졌어. 강한 눈보라부터 낙엽이 흩날리는 산뜻한 바람, 그리고 ... ...
- [과학뉴스]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유역의 지각판을 계속해서 한쪽으로 당겨 물줄기가 휘지 않고 유지되게 만든 셈이다.파세나 교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맨틀의 흐름이 강의 물줄기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만약 맨틀의 흐름이 없었다면 나일강 물줄기는 북서쪽으로 휘어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