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실
과일
실과
결과
결실
너트
조리개
d라이브러리
"
열매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생명을 죽여 스스로의 생명을 잇던 모든 존재들이 사멸해 버린 세계 속에서 꽃을 피우고
열매
를 맺어 다른 섬, 다른 대륙에서도 그들의 조용하지만 평화로운 꿈을 계속 이어나가는 풍경을.나는 낮이면 누이와 닮았다고 내 멋대로 정해버린 나무 밑에 누워 잠을 청한다. 이대로 잠들어 죽어버리기를,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작은 척추동물을 붙잡고, 주둥이 뒤쪽에 나있는 강한 어금니로 껍질이 단단한 곤충이나
열매
를 깨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몇몇 과학자들은 파카수쿠스가 오늘날의 작은 식육류(개와 고양이)처럼 살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대리출석을 하게 된 악어노토수쿠스류가 공룡의 그늘 밑에서 성공적으로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예쁜 꽃을 피워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소나무와 전나무, 향나무 같은 겉씨식물은
열매
와 비슷하게 생긴 초록색 꽃을 피운다. 크기가 작고 색깔과 돋아난 모양이 잎과 비슷해서 자세히 관찰하지 않으면 꽃이 피어 있는지조차 알기 어렵다. 생김새도 평범할 뿐만 아니라 향기도 속씨식물에 비해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가장 진화한 종자식물만이 꽃을 피운다. 소나무와 참나무 같은 겉씨식물의 꽃은
열매
와 비슷해서 잘 보이지 않는다. 겉씨식물은 대개 수나무와 암나무가 각각 수꽃과 암꽃을 피운다. 수꽃에서 나오는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암꽃에 날아간다. 하지만 바람 방향이나 세기에 의존해야 해 수분★확률이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숫자 몇 개를 떼어내고 남은 수를 제곱하는 방식을 썼다. 다른 씨앗을 심으면 다른
열매
가 나오듯이, 다른 시드값을 넣으면 만들어지는 난수도 바뀐다. 물론 시드값이 달라도 같은 난수가 생길 수 있지만 확률이 낮아 충분히 무작위의 숫자라고 볼 수 있다.이 방법에는 단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보호하고, 건물이 돋보이는 효과를 누렸습니다.내삼문의 단청에는 꽃잎 다섯 장이
열매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생명과 영원을 뜻하는 연화문, 가는 선으로 잎사귀 덩굴을 그린 초엽문이 있습니다. 두 문양 모두 일정한 규칙에 따라 그렸습니다. 연화문에서 꽃잎 다섯 장은 중심에 원을 두고 그 ... ...
[숲이야기 둘] 숲을 살리는 겨우살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겨울에 먹을 것을 찾기 힘든 동물들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해요. 또 겨우살이
열매
는 당분과 지방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초식동물에게 중요한 영양분이 되지요.겨우살이는 거대한 덩어리처럼 자라나는 특성 때문에 동물들의 집이 되기도 한답니다. 겨우살이 속에서 새들은 안전한 둥지를 짓고,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수도 있답니다. 흰개미 굴에 나뭇가지를 넣어 낚시를 하거나, 돌을 이용해 딱딱한 나무
열매
를 깨먹기도 하지요. 높은 곳에 있는 과일을 따기 위해 긴 막대기를 이용하거나 바닥에 상자를 쌓아 올리기도 해요.특히 단기기억력이 좋아서 숫자 순서 맞추기 퍼즐은 대학생보다 빨리 풀기도 했어요.닥터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수 없으니까요. 특히 신생대에 번성한 볏과 와 콩과의 식물은 번식률이 높고 많은 수의
열매
가 한꺼번에 열리기 때문에 주식으로 안성맞춤이랍니다. 누구를 피할까? 기껏해야 1~2m 크기인 인류에게 수십m 크기인 공룡은 가장 무서운 적이었을 거예요. 어떤 종이든 살아남기 위해서는 포식자를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백악기의 새들은 모두 몸집이 작았다. 이들은 물가에서 잠수를 하거나 나무 위에서 살며
열매
나 씨앗을 먹었다. 반면 대형 익룡들은 해변이나 내륙을 어슬렁거리며 작은 동물을 잡아먹었다. 몸집도 다르고 생활 방식도 달랐기 때문에 이 둘은 경쟁할 필요가 없었다. 백악기 때 새와 대형 익룡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