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엔지니어"(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배터리 기술 하나만으로도 역사를 바꿀 수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지구인 엔지니어 단 한 사람에게만 몰래 보여준 기술. 외할머니에게 그 체중계는 굉장한 트로피였을 것이다. 외할머니가 그들에게 어떤 도움을 줬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것은 분명 신뢰의 징표가 틀림없었다. ...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를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페이스북 엔지니어인 아매드 압둘캐더 등은 6월 2일 페이스북 엔지니어링 블로그(code.facebook.com)를 통해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딥러닝은 다양한 경험과 시행착오를 거치며 지식을 배우는 인간의 학습방법을 모방해 대량의 데이터에서 추상적인 ... ...
- [Knowledge] A320 제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차가 수시로 드나들지 않으면 공장인지 모를 정도였다.에어버스는 매년 자사 관계자와 엔지니어, 항공 전문 기자를 한 자리에 초청해 최신 항공 기술을 선보이고 토론하는 ‘혁신의 날(Innovation Day)’을 개최한다. 올해는 5월 30~31일 이틀간 개최됐다.에어버스 독일 함부르크 공장은 에어버스에서 ...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9개월 정도다.디자이너는 브랜드와 제품에 맞는 광고나 이벤트를 기획하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프로그래밍으로 디자이너의 아이디어가 눈앞에 나타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화면을 터치하면 원하는 콘텐츠가 나타나도록 하는 식이다. 프로젝트가 끝난 뒤에도 의뢰인이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 ...
- [지식] 어벤져스 vs 어벤져스, 그들만의 대결이 시작된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전쟁의 승패는 ‘란체스터 법칙’이라는 수학 법칙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영국의 엔지니어인 프레더릭 란체스터가 제1차 세계대전 중이었던 1916년에 만든 법칙으로 아군과 적군의 상대적인 힘을 계산하는 수학 이론이다. 그가 고안한 법칙 중 가장 유명한 법칙은 ‘란체스터 선형 법칙’과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광선검은 헬륨 플라스마를 사용하면 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플라스마 엔지니어링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Infographic ] 플라스마는 어디에나 있다Part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자료를 질리도록 해석한 학자들, 기기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수없는 반복실험을 한 엔지니어들이 뒤에 있었다. 과학과 합리성의 영역은 개미보다 작게 조금씩 늘어났고, 이런 과정이 쌓여 가망 없어 보이는 실험도 결국 성공하게 됐다.아인슈타인은 물질의 존재에 따른 시공간의 주름을 예측했다. ... ...
- [과학뉴스] 떨어뜨린 음식, 5초 안에 먹으면 OK?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직접 증명하고 나섰다.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소속의 엔지니어 마크 로버와 마이크 미첨이 ‘퀵 앤드 큐리어스’라는 과학채널을 통해 이른바 ‘5초 법칙’을 설명했다고 2월 3일 보도했다(동영상 참조).방송에 따르면 5초 법칙은 엄밀히 ‘30초, 수분, 표면 법칙’이 돼야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위에서 인간과 컴퓨터가 격돌하면 최고의 체스 실력을 가진 인간 수학자, 전산학자, 엔지니어의 축적된 독창적 연구결과가 대결을 벌인다. 인간과 기계의 대결은 기계가 사고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공동으로 만든 연구결과가 가장 재능 있는 인간을 뛰어넘을 수 있는지를 ...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그럼에도 직군 별로 연봉의 차이는 크지 않다. 한국과 달라 매우 인상적이었다!). 한 예로 엔지니어들은 출퇴근 시간이 명확하게 구분돼 있지만, 연구개발자는 일의 특성상 시간 활용이 자유롭다. 일주일에 40시간, 분기별로 520시간의 업무를 하는 최소한의 기준만 정해져 있다.연구원 안에는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