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엔지니어"(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지나칠 수밖에 없었다.이 엔진 테러 사건을 막은 사람이 제하림의 아빠인 제다검이었다. 엔지니어였던 제다검은 테러리스트를 방해해 폭탄이 엉뚱한 곳에서 터지게 했고, 폭발에 휘말려 희생됐다.여론은 순식간에 한쪽으로 쏠렸다. 다른 행성을 찾자던 사람들은 의견을 접고 몸을 낮췄다. 제다검은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남선 오빠를 제외하고 두 명 팀이 세 팀, 세 명 팀이 한 팀이었습니다.첫 팀은 미국 엔지니어들과 기계 의수, 의족과 인공 피부를 개발하고 있었더군요. 근전신호로 움직이는 팔다리는 기대 이상으로 정교했습니다. 저는 기준 오빠의 골육종이 퍼진 위치를 확인하며 생각에 잠겼습니다. 허벅지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50%가 채 안 될 때도 많다.이번 시추는 여러 번의 실패 끝에 얻어낸 결실이었다. 시추 엔지니어들은 어제 현장에 도착하자마자 지름이 30cm, 길이가 19m나 되는 긴 파이프 약 200개를 시추탑에 연결해 해저에 닿을 때까지 계속 내렸다. 새벽 0시 50분쯤 첫 번째 시추를 시도했으나 파도와 해류 때문에 시추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작성한 파일은 복구할 수 없다.최 씨의 태블릿 PC는 쓰지 않은 지 2년 정도 지났다. 윤 엔지니어는 “문서 파일 복구는 어렵더라도, 문자나 전화번호부, 카카오톡의 내용은 복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파티션에 저장되는 이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에 따로 기록이 남기 때문이다.윈도우 ... ...
- Part 3. 3D프린터로 날개 단 위상최적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지금까지 살펴본 바로는 위상최적화가 미래를 크게 바꿔놓을 것 같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위상최적화로 설계한 물체는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모양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드릴로 재료를 깎아 물체를 만들어 내는 기존의 ‘절삭 가공’ 기술로는 만드는 게 불가능하거나, 비용이 아주 많이 난다면 ... ...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입에서 생존자라는 말이 나온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이 생존자를 구조한 엔지니어 중 한 명인 아담 라이트는 광물 수집가들에게 ‘홍연석 사나이(Crocoite man)’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이 아름다운 광물을 즐길 수 있게 해 준 그들에게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 ... ...
- [Knowledge] 최고를 향해 달리는 기술, 슈퍼카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미우라’가 탄생한 지 50주년이 되는 해다.1965년, 이탈리아의 자동차회사 람보르기니의 엔지니어 세명은 기존 스포츠카와 다른, 일반 도로 위를 달리는 레이싱카를 만들자며 의기투합했다. 이전의 스포츠카가 그저 도로 위를 달리는 2인승 고성능 차량이었다면, 그들이 원했던 것은 레이스에서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런 일을 하는 사람들은 대개 엔지니어와 기술자다. 그래서 우리는 물리학자보다는 엔지니어를 더 많이 고용한다. 시설을 만들고, 운영하며, 사용하는 사람들이 원활하게 소통하게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현재 소통을 전담하는 물리학자를 뽑아서 그 역할을 맡기고 있다.➔ 그는 CERN에 대한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공부하는 것과 실제 삶 사이에 괴리가 크다고 느껴 이 책을 쓰게 됐다”고 했다. 항공사 엔지니어로 늘 무언가를 손으로 만졌던 아버지와 달리, 그는 어렸을 때부터 책에만 파묻힌 공부벌레였다. “과학기술이 삶을 어떻게 지배하는지 직접 보이고 싶었다”는 그는 유리판을 만든 것처럼 다양한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필요한 정밀한 실린더를 만들 공작기계가 없었다. 훗날 제임스 와트는 존 윌킨슨이라는 엔지니어가 발명한 보링머신 덕을 봤다. 영국의 제철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능해진 기술이었다.과학을 거대한 네트워크로 치환하면 많은 것이 달라 보인다. 아니, 많은 것이 이상해 보인다. 과학기술은 왜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