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후
안팎
시종
주변
주위
상황
d라이브러리
"
앞뒤
"(으)로 총 551건 검색되었습니다.
PRAT 3. 3D 르네상스, 이제 소리도 3D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미국 돌비사가 개발했으며, 대부분의 극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음향 시스템이다.
앞뒤
좌우를 꽉 둘러싼 스피커 덕에 극장 좌석에 앉으면 소리로 감싸인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 부족한 것이 하나 있다.비가 내리면 빗소리가 천장에서 떨어진다최근 여의도 CGV의 사운드X 상영관에서 ... ...
과학도 풀지 못한 미스터리 조각, 흑피옥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오래된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했다기엔 너무나 자연스러워요.”위작이라고 주장하기엔
앞뒤
가 안 맞는 부분이 많다고도 덧붙였다.“누가 왜 굳이 수천 개나 되는 옥 조각품을 만든 뒤 각기 다른 중금속 칠을 하고, 다시 ‘골동품 흉내’를 내기 위해 추가로 가공을 하는 수고를 했을까요. 비싼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지금까지도 미국 대통령 선거 제도가 합리적인지를 따질 때 중요한 예로 언급된다.
앞뒤
를 못 가리는 ‘검사의 오류’이제 오늘의 마지막 사건이로군. 흠…. 끔찍한 살인사건이라…. 게다가 피의자는 유명한 스포츠 스타라고?재판장님. 이 사건의 범인은 명백합니다. 사건 현장에서 발견된 ... ...
'레버 휠체어' 어떤 지형에서도 달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과동이> 그러고 보니 자전거의 톱니바퀴와 체인이 있네요. 자전거 페달처럼 레버를
앞뒤
로 움직이면 바퀴가 돌아가는군요.쌤> 맞습니다. 레버는 다른 효과도 있어요. 레버의 위쪽을 잡고 당기면 거친 도로를 쉽게 빠져나갈 수 있어요. 반대로 레버의 아래쪽을잡고 당기면 속도가 빨라집니다. 왜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인공지능 첨단 제설 시스템으로 눈길 걱정 끝차가
앞뒤
로 꽉 막혀서 벌써 한 시간째 제자리예요. 앞서가던 차가 눈길에 미끄러져 사고가 났나 봐요. 솜이는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스마트폰을 꺼내서 게임을 시작했어요. 아빠는 ‘휴~’하고 한 숨을 쉬며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때문이라고 말한다. 있지도 않은 다리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 적응했다는 논리는
앞뒤
가 맞지 않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우선 파충류의 진화 과정을 들여다보자.뱀이 처음부터 다리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뱀을 비롯한 파충류는 고생대 석탄기(3억 6000만 년~2억 8600만 년 전)에 등장한 원시 파충류에서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얻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야 하고 결국 화석연료를 이용해야 한다. 뭔가
앞뒤
가 맞지 않다. 전기에너지 대신에 무한 청정에너지인 태양광을 이용할 수 없을까.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한 백진욱 박사팀은 물에서 수소를 분리하는 40여 종의 광촉매 물질을 발견했다. 광촉매를 물에 넣은 후 햇빛을 ... ...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10자리 일련번호를 살펴보면 처음 발견된 2005년부터 지금까지
앞뒤
의 글자와 숫자가 다 바뀌어도 가운데의 ‘77246’은 고집스럽게도 그대로다. 김 차장은 “만약 범인이 잡히지 않는다면 77246의 의미도 영원히 비밀로 묻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77246 위폐 어떻게 ... ...
이상한 착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진짜고 가짜면 가짜지, 대체 진짜 같은 가짜가 뭐예요?진짜 + 진짜 = 가짜?! 하나,
앞뒤
를 바꿔라!불가능한 도형은 항상 올바른 도형으로부터 출발한다. 올바른 도형의 일부를 변형하면 진짜인 것처럼 보이는 착시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❶번 그림은 올바른 도형이다. 이 그림에서 수직으로 ... ...
베토벤도 깜짝! 음악에서 찾은 기하학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음 높이를 숫자로 표시했다. 이렇게 얻은 연속된 숫자의
앞뒤
차이 값을 함수로 나타내 분석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클래식 음악은 음의 변화 폭이 크지 않았다. 대개 다음 음 근처의 높은 음이나 낮은 음으로 이동하는 식이었다. 반대로 록 음악은 그 변화가 심했다.그런데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