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격루의 두뇌, 588년 만에 깨어나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2021년 6월 1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79번지에서 조선 전기 금속유물이 대거 출토됐다. 그간 문헌으로만 전해 내려온 유물들이 속속 실체를 드러낸 ‘국보급 발굴’이었다. 과학동아는 같은 해 9월호에서 가슴 떨리는 순간의 이야기를 전했다. 그리고 2022년 7월 14일, 새로운 소식이 들려왔다. 인사동에 ... ...
- [기획] 인공중력 만드는 우주토목공학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인공중력은 더 이상 상상 속의 기술이 아닙니다. 과학적인 원리는 명확합니다.앞으로는 지구 밖 우주에 어떻게 거대한 인공중력 시설을 지을 것인가 하는 문제만 남았습니다. 우주는 환경도 전혀 다르고, 재료도 충분하지 않죠.조금은 색다른 영역이 필요한 때입니다. ‘우주토목공학’입니다. ... ...
- 한화솔루션이 그리는 탄소중립 청사진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청정에너지, 소재 기술로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기업이 있다. 사업의 모든 분야가 환경보호 활동과 관련된 기업. 바로 한화솔루션이다.한화솔루션은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주력으로 고부가 가치 소재 및 친환경 플라스틱 사업을 하는 회사다. 크게 케미칼, 큐셀, 첨단소재, 갤러리아, 인사이트 ... ...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있지 않다는 뜻에서 비암호화 영역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단백질을 만들어낼 때 설계도처럼 쓰이진 않지만, 일부는 유전자가 발현될지 말지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30억 쌍의 염기서열로 이뤄진 유전체 중 유전자는 2%도 안 되고, 나머지는 모두 ‘비암호화 영역’이 차지하고 있다.최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모든 사람에게 편리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안녕! 난 디지털 바른 생활을 연구하는 잼랩의 슈슈야! 최근 팔을 다쳐 보니 디지털 기술이 몸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어떤 어려움을 주는지 알게 됐어. 평소엔 전혀 알아채지 못했던 것들인데 말이지. 그래서 주변에 디지털 환경에서 불편을 겪는 이웃들을 돕기로 했는데…! 안녕! 난 디지털 바른 ... ...
-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달을 향한 긴 여행이 시작됐다. 8월 5일 오전 8시 8분(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한국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가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시 48분 다누리가 팰컨9 발사체에서 분리됐고, 9시 40분 지상국과 ... ...
- 유전자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긴 비암호화 RNA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유전자치료 시장, 덩달아 커진 RNA 연구RNA는 DNA와 함께 대표적인 유전물질입니다. DNA가 설계도 원본이라면 RNA는 단백질을 만들기 위한 복사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NA를 그대로 복사한 RNA에는 단백질의 정보가 암호처럼 저장돼 있습니다. 이를 ‘암호화’라고 합니다. 이 암호를 풀어 단백질을 ... ...
- [특집]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일자리 뺏어갈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님들보다 코드 잘 짜는 AI 나왔음(개발 공부 왜 함).”요즘 개발자 꿈나무들이 즐겨보는 유튜브에는 ‘코딩하는 인공지능(AI)’ 소개 영상이 종종 등장한다. 이름부터 어마무시하다. 인간의 일자리를 뺏는 건 둘째치고 자기복제를 해서 인류를 위협하는 로봇군단이 떠오를 지경이다.하지만 실제 현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 놀랍게도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다른 조합론 문제에서도 로그-오목이 나타납니다. 유한 차원 벡터 공간에 영벡터가 아닌 유한개의 벡터들의 집합 E가 주어지면 원소가 i개인 E의 부분 집합 중 일차독립인 것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열 fi(E)를 생각할 수 있습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는 시인이 되고 싶었다.수학이 바로 그런 표현의 방법이란 걸 배웠다.”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이 자라 2022년 필즈메달을 수상했다.한국계 수학자 허준이(39)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 겸한국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의 이야기다. 2022년 7월 5일(현지시간)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