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가장 유력한 후보랍니다. 올겨울,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있는 화성을 관측해 보는 것 어떨까요? 자, 그럼 여기서 퀴즈! 다음 중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지구에서 발사된 날은 언제일까요?(힌트 : 화성은 약 2년 2개월마다 가까워져요.)① 1967년 7월 16일② 1990년 4월 24일③ 2 ... ...
- [가상 인터뷰] 우주의 유령 ‘중성미자’가 남극 얼음에서 발견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남극 얼음에서 포착되었고, 고래자리 A은하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망원경으로 관측하지 않아도 연구가 가능해졌죠. 연구진은 “중성미자를 통해서도 별의 폭발과 같은 격렬한 우주 활동을 연구할 수 있게 됐다”며 중성미자 천문학을 실현할 새로운 시작임이 분명하다고 의의를 ... ...
- [특집] 실험으로 직접 보인 양자 세계의 원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공을 꺼내 색깔을 확인하는 순간 흰색인지 검은색인지 한쪽으로 결정되죠. 이렇게 관측하기 전까지 흰 공인지 검은 공인지 정해지지 않은 상태를 두 결과가 중첩됐다고 말해요.두 번째 실마리는 양자 얽힘입니다. 둘 이상의 양자 중첩상태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거예요. 예를 들어, 상자에 양자 ... ...
- [숫자 뉴스] 지하 1000m 땅속에서 우주의 비밀을 찾는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졌어요. 암흑물질은 우주를 구성하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아직 관측된 적이 없어 정체를 알 수 없는 물질이에요. 중성미자는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입자★이지요. 우주를 이루는 물질 중 지금까지 밝혀진 것은 전체의 4%밖에 안 돼요. 암흑물질과 중성미자에 대해 알아내는 것은 ... ...
- [별별 우주 기네스] 인간이 발견한 최초의 소행성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궤도 사이에서 태양 주변을 돌아요. 다른 천체에 비해 크기가 작아서 보통 망원경으로는 관측하기 어렵지요. 인간이 천체망원경을 발명한 지 200년이 지난 1801년이 되어서야 첫 소행성이 발견됐답니다. 이 소행성이 바로 ‘세레스’예요. 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도는 소행성 중 가장 큰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위치한 정상나선은하 IC 5332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었어요.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할 때 가스와 먼지로 가려졌던 부분이 드러나자 그 속에 숨겨진 은하의 세부 구조가 나타난 거죠. 두 우주망원경의 사진을 비교해 살펴봐요! 자, 그럼 여기서 퀴즈! 지구로부터 약 29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IC 533 ... ...
- [과학 뉴스] 제임스 웹 망원경이 찍은 해왕성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촬영했기 때문에 특유의 푸른색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신 남반구에서 밝은 빛이 관측되었습니다. NASA는 이 빛이 높은 고도에 떠 있는 메탄 얼음 구름이 빛을 반사해서 밝게 보인 것이라 설명했습니다. 이외에도 해왕성 주변을 도는 위성 14개 중 7개(사진)가 함께 찍히기도 했지요. NASA는 내년에 ... ...
- [별별 우주기네스] 가장 큰 위성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0호
- 인공*적으로 만들어 우주로 쏘아 보낸 거지요. 인공위성은 지구 밖 궤도를 돌며 지구를 관측하거나, 각종 방송·통신 에 쓰여요. 그렇다면 ‘인공위성’ 중 가장 큰 것은 뭘까요? 바로 국제우주정거장(ISS)이에요. 국제우주정거장은 인간이 우주에 세운 ‘우주 천문대’이자 실험실이에요. 그 크기가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고리를 지닌 토성이에요. 뒤를 이어 목성이 뜬답니다. 겨울이 다가오면 화성도 저녁에 관측할 수 있죠. 목성 탐사선 ‘주노’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목성 사진을 감상하며 목성의 매력을 살펴볼까요? 자, 그럼 여기서 퀴즈!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에서 목성의 고리가 ... ...
- [기획] 지구 덮친 폭우 자연재해 아닌 인재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서울시 동작구 기준 8일 하루 만에 381.5mm의 비가 내렸습니다. 1907년 우리나라가 기상을 관측한 이래로 하루 치 최고 강수 기록이었어요. 동작구는 한때 시간당 141.5mm의 강수량을 기록하며 호우경보● 기준을 훌쩍 뛰어넘기도 했죠. 이는 장마철 한 달 강수량●에 달하는 비가 8일부터 이틀간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