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핏줄
혈맥
피쭐
핏줄기
뉴스
"
혈관
"(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뇌경색 미리 알 수 있는 ‘위험 지도’ 나왔다
2014.12.30
연구진이 뇌
혈관
이 막혀 뇌 조직이 괴사되는 질병, 즉 뇌경색의 위험 정도를 객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표준 자료’를 완성했다. 뇌경색은 흔히 중풍이라고도 불리는 ‘뇌졸중’의 주된 원인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참조표준센터는 동국대 ‘한국인 뇌MR영상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전국 ... ...
에볼라, 감염 초기에 찾아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12.24
짧게는 이틀에서 길게는 3주까지 잠복기가 이어진다. 환자는 잠복기가 끝나고 온 몸의
혈관
이 터져 피가 나오기 시작해야 에볼라에 감염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최근 보스턴의과대 미생물학과 존 코너 교수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감염 초기에 발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논문 한 편을 ‘BMC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추정하고 약간 엽기적인 실험을 진행했다. 즉 ob생쥐를 정상생쥐나 db생쥐와 외과수술로
혈관
이 연결되게 만들었는데(이를 ‘병체결합’이라고 부른다), 그 결과 ob생쥐가 먹이를 덜 먹고 살이 빠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로부터 콜맨은 ob생쥐의 혈액에는 식욕을 억제하는 어떤 성분이 없다고, 즉 ... ...
혜성 탐사선 ‘로제타’ 올해의 연구 성과 1위
2014.12.19
‘GDF11’이라는 단백질을 뽑아 투여했더니 늙은 쥐의 운동능력이 향상되고 뇌 속
혈관
도 늘어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성과는 인간의 노화나 치매 등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룡에서 새가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밝히는 연구도 순위에 들었다. 초기부터 현재까지 조류 화석과 ... ...
비아그라, 치매에도 효과 있을까
2014.12.15
기대하고 있다. 임상시험은 뇌졸중으로 뇌
혈관
이 손상되거나 인지기능이 떨어져
혈관
성 치매 증상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여기에는 비아그라와 성분이 같은 ‘시알리스(타달라필)’가 쓰일 예정이다. 더그 브라운 알츠하이머병학회 연구개발팀장은 “10년이 넘도록 ... ...
치아엔 티타늄-스텐트엔 니티놀, 생체 금속의 세계
2014.12.12
작게 만들어
혈관
에 삽입하면 체온에 의해 니티놀이 일정 크기까지 늘어나면서 스텐트가
혈관
을 쉽게 확장할 수 있다. 석현광 KIST 책임연구원. - KIST 제공 ● 체내에서 녹는 금속도 개발 중 최근 국내에서는 체내에서 분해되는 생체 금속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임플란트나 인공관절처럼 ... ...
특허 끝난 항암제로 당뇨성 망막부종 치료제 개발
2014.12.08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진은 최근 특허가 만료된 항암제 이마티닙이 망막
혈관
손상을 막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동물실험에서도 치료 효능을 확인했다. 서 교수는 “이 물질은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만큼 인체에서의 치료 효능만 확인한다면 신약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
70대 이상 노령인구 ‘소화성궤양’ 환자 증가, 5명 중 1명꼴 ‘속쓰림’
동아닷컴
l
2014.12.04
대한의학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심장질환, 뇌
혈관
질환 환자도 동반해 늘어났다. 이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제인 아스피린을 포함한 항혈전제의 복용이 많아졌다. 또한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진통소염제)의 복용이 늘어 진통소염제가 ... ...
렌즈 하나로 3D 찍는 카메라 기술 60억 원 유치
2014.12.02
출시할 것”이라며 “한 번 촬영으로 입체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살려
혈관
의 3차원 위치까지 인식하는 홍채인식 카메라 등의 보안 분야는 물론 교통안전 분야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덧붙였다. ... ...
혈관
재생 유도하는 신 물질 몸속에서 찾았다
2014.11.30
이미 존재하는 담즙산을 이용했다는 점에서 부작용이 없어 줄기세포를 이용한 허혈성 심
혈관
질환 치료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줄기세포 분야 전문지 ‘스템셀’ 11월 19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