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과학동아 l2005년 12호
- 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에 만들어 놓은 가상의 악기에서 난다.디지털 지휘봉과 비슷한 프로젝트로 미디어랩에서는 1996년 ‘제스처 벽’(Gesture Wall)을 만든 적이 있다. 이는 지휘봉이 아니라 컴퓨터가 맨 손의 움직임을 감지해 음악을 만들어 낸다. 디지털 지휘봉과 제스처 벽 연구는 지휘자의 지시에 ... ...
- Smart D과학동아 l2005년 12호
- 게, 각국에 있는 NGO 차원에서 연합해서, 같은 타이밍에 각자의 국가에서 소송을 내는 프로젝트였어요. 그러니까 원고가 수십만 명이고 피고가 회사인 소송이었죠. 요지는, 소비자가 제품의 구매 조건과 사용 조건 같은 것을 전혀 모르고, 아예 구매 사실 자체를 모른 채 끼워 팔기 형태로 이루어진 ...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1호
- 앞서기 때문에 일본에서 협조 요청을 해 왔고, 자연스럽게 적외선우주망원경이라는 대형 프로젝트로 연결되었습니다. 또한 문화적인 특성상 일본과의 공동연구가 서로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Q 지금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적외선우주망원경 개발을 하고 있는 데, 우주망원경에서도 세계적인 경쟁이 ...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과학동아 l2005년 11호
- 매사추세츠대 윤민수 교수는 멕시코 화산 꼭대기에 들어설 거대 밀리미터파 망원경(LMT)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연구진이 300명에 달하는 미국 하버드대 천체물리센터의 김동우 박사는 NASA의 찬드라 X선 망원경으로 은하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137억년 전 우주는 빅뱅이라는 대폭발로 ...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과학동아 l2005년 11호
- 찍은 사진에서 타깃이 되는 별이나 은하를 제외한 나머지 것들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프로젝트다.예를 들어 X선이 뿜어 나올만한 소스가 없는데 X선이 나오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찬드라 X선 망원경으로 해당 지역을 자세히 관측하면 점 같은 X선 소스를 찾을 수 있다. 김 박사는 ...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과학동아 l2005년 11호
- 내년 초에 시작될 새로운 외계행성 프로젝트를 주도할 연구팀을 구성하고 있다. 새 프로젝트는 칠레 안데스산맥에 있는 또 하나의 제미니천문대에 설치된 차세대 적외선카메라(NICI)로 500여개의 별을 2, 3년에 걸쳐 총 50일간 관측해 외계행성을 찍으려는 계획이다. 이는 지금까지 진행된 어떤 ...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과학동아 l2005년 11호
- 다NASA와 NASDA(현 JAXA)가 공동으로 진행한 우주왕복선 유인 실험모듈 설치 및 우주실험 프로젝트 NASDA에서는 35개의 실험을, NASA에서는 7개의 실험을 지원하여 모두 44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18, 19세기는 오토마톤(Automaton)의 전성기였다 당시에는 '내부에 동력원과 동작장치를 지닌 장치'를 총칭하는 ...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과학동아 l2005년 11호
- 중 초기 우주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아내기 위해 60여명의 천문학자들이 꾸린 영국 팀의 프로젝트가 가장 크다. JCMT로 3년 동안 관측할 계획이었던 영국 팀은 관측을 시작한지 1년 6개월 만에 JCMT의 카메라 ‘스쿠버’가 고장 나서 난처해하던 중이었다.스쿠버를 고칠 수도 있지만 비용이 너무 많이 ...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과학동아 l2005년 11호
- 서 교수는 1991년부터 지도교수의 일을 돕는 것뿐 아니라 독자적인 실험계획을 세우고 프로젝트를 수행해 나갔다. 교수가 아닌 신분이었지만 그의 비전과 능력을 보고 유능한 연구원들이 하나 둘 모여들기 시작했다. 서 교수는 이 과정을 “돈 한 푼 없이 시작해 기업을 세워내는 격이었다”고 ...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과학동아 l2005년 10호
- 수 있다. 2m급 망원경으로 업그레이드하면 지구형 행성을 찾을 수 있다. 차세대중력렌즈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목성형 행성 수백 개, 지구형 행성 수십 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를 통해 외계행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년 뒤 또 다른 지구 찾는다 20년쯤 이후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