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3. 사람 살리는 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란 그리스어로 ‘달콤하다’는 의미다. 인간과 침팬지 차이는 당유전자2001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
의 완성을 토대로 ‘지노믹스’(Genomics) 분야의 붐이 일었다. 포스트 게놈 시대를 맞아 ‘프로테오믹스'(Proteomics)가 뒤를 이었다. 대량의 데이터 분석을 특징으로 하는 이른바 ‘~오믹스’(omics) 기술의 ... ...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우주개발에서 우리나라보다는 월등히 앞서고 있음이 분명하다. 비록 우리는 우주인 양성
프로젝트
의 첫 단추를 끼우고 있지만 우주개발의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장기적인 계획에 발맞춘 우주인 양성을 통해 우주를 누빌 한국인 우주인을 기대해 본다. 우주인 배출 사업, 잠시 숨고르기?지난 ‘1.2 ... ...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미국 전역에 걸쳐 전국민을 대상으로 영양 섭취와 건강 상태 등을 조사한 매우 방대한
프로젝트
다. 1971년 시작된 1차 조사 이후 1999~2004년 4차 조사가 이뤄졌다.미국의 4차조사에 따르면 성인한사람의 하루평균 탄수화물 섭취량은 273g으로 우리나라보다 낮다. 미국인은 주로 음료, 사탕, 케이크,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박사를 책임자로 삼아 총사업비 5000만 달러를 들여 복서(boxer)종 개를 대상으로 개 게놈
프로젝트
를 시작했다.미국 유전체학진흥센터와 유전체연구소는 지난 2003년 9월 검은색 푸들의 유전자를 분석해 전체의 약 80%에 이르는 염기서열을 규명하고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개는 인간과 ... ...
GPS에 도전장 낸 갈릴레오표 우주나침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갈릴레오
프로젝트
’에 참여를 결정하고 한국-EU간 공식협정을 현재 추진 중이다. 이
프로젝트
에 참여하려면 GJU에 가입비 65억원(500만 유로)을 내야 한다.현재 정부는 GPS서비스가 유료화 되거나 사용불능 상황이 닥치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갈릴레오를 GPS를 대체할 유일한 대안으로 지목하고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전 모습과 똑같이 재현했다. 제작기간만 4년, 비용은 100만달러(10억원)가 들어간 엄청난
프로젝트
였다. 최근에는 다카라, 아쿠아로이드 등 기업을 중심으로 수cm 크기의 교육용 장난감 물고기 로봇개발이 활발하다.로봇 물고기를 개발하는 이유가 뭘까. 김 교수는 “로봇 물고기가 미래에 무인 ... ...
반도체 칩 위의 건축가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있는 연구도 칩에서 전력을 적게 소비하는 기술이다. 현재 연구 중인 ‘파워 게이팅
프로젝트
’는 반도체 칩에서 누설(漏泄)전류 때문에 발생하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기술이다.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도 전압을 가하면 아주 미세한 전류가 흐르는데, 이를 ‘새어 나간다’는 뜻에서 ... ...
스승과 제자, 카시니와 뢰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유럽우주국(ESA)이 연합해 쏘아 올린 우주선이 7년 동안 날아가 토성의 위성에 착륙한 이
프로젝트
는 우주 탐사의 진보를 알리는 것이었다. 그 결과로 타이탄의 표면엔 액체 메탄으로 된 비가 쏟아져 내리고 바다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당시 많은 사람들을 흥분시킨 뉴스였다.이 역사적인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편을 게재할 예정이다.연구팀은 갈렉스 연구 실적을 바탕으로 지난 2004년 NASA의 우주과학
프로젝트
심사에서 20여개 우주과학 사업 중 1위에 올랐다. 이 교수는 “한국의 연구 환경에서 이런 성과를 얻었다는 것은 기적 같은 일”이라며 2002년 칠레 세로톨로로 미국국립천문대에서 이룬 쾌거를 예로 ... ...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던진다. 예술과 과학의 만남을 주제로 양자 간 구체적인 접점을 설정하기 위한 이번
프로젝트
도 예외는 아니다. 첫 시도인 만큼 작가와 과학자 간에 좀 더 긴밀한 공동 작업 모델을 제시하지는 못했기 때문이다.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전시를 통해 예술과 과학의 만남을 이야기하는 것이 단순히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