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지나간 자리에 남아 있던 그을음에서 바로 이 물질이 발견됐다. 순간적으로 엄청난
에너지
를 받아 만들어진 기체 상태의 탄소 원자가 공기 중에서 급격히 온도가 낮아지면서 생겨난 것이다. 구조가 공을 닮았다!새 물질은 탄소 원자 60개로 이뤄져 있었다. 세 사람은 레이저가 흑연에서 탄소를 큰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언 행성에서 산이 만들어지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산이 있다는 것은 내부의 열
에너지
가 지표 대류를 일으켰다는 뜻이고, 이는 명왕성이 아직도 지질학적으로 활동적이라는 증거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PART2. 탐사선 : ... ...
[과학뉴스] 초대칭이론은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가장 정교한 우주 모형은 ‘표준모형’이다. 그런데 표준모형으로는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
를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초대칭이론’처럼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나왔지만, 아직 증명된 바는 없다. 일부 과학자들은 6개의 쿼크 중 바닥 쿼크가 ... ...
[Knowledge]
에너지
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5km의 속도로 한 시간 운동하면 약 250kcal정도 소비된다. 하지만 베이지색지방이 태우는
에너지
를 고려하면 더 많은 칼로리가 소모되고 있는 것이다.다이어트 약 개발까지는 많은 연구 필요해이리신과 같이 백색지방을 베이지색지방으로 바꿔주는 물질을 이용해 다이어트 약을 만들 순 없을까. 지난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편입되다양 연구원은 “볼츠만 상수는 열
에너지
에 대한 상수”라며 “0 ℃와 100 ℃의 열
에너지
를 각각 그래프로 표시하고 직선을 그으면 그 기울기가 바로 볼츠만 상수”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볼츠만 상수를 재는 위치는 0 ℃가 아니라 0.01 ℃다. 이곳은 물의 삼중점으로 불리는데 물과 얼음, ... ...
[과학뉴스] 목성 표면을 ‘둥둥’ 신개념 탐사선 아이디어 발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한 시간도 채 버티기 힘들다. 이번에 새로 발표된 탐사선 ‘윈드봇’은 풍력
에너지
를 이용한다. 목성의 소용돌이 바람을 이용해 동력을 생산하고 위로 떠오를 수 있어 연료 없이도 오랜 시간 탐사를 지속할 수 있다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별과 은하의 무대를 만들어낸 주인공은 우주의 시공에 스며있는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
일 것이다.서호주 필바라에서 시작한 우주 여행의 마지막 순간에 우리가 만난 것은 138억 년 우주의 역사가 그려내는 아름다운 풍경이었다. 그리고 그 풍경 속에 어우러져 있는 우리의 모습이었다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놓고 보면 굉장히 비효율적인 행동이에요. 소리를 만들 때 쓰는 운동
에너지
가 소리
에너지
로 전환되는 비율은 3%도 안 되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개구리는 짝을 찾기 위해 생명을 걸고 노래해요. 개구리의 노래는 수컷이 암컷에게 바치는 ‘사랑의 세레나데’인 셈이에요.이번 여름, 개구리의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따라 들어간다. 하지만 스윙바이처럼 행성을 스쳐 지나가면서 가속도를 얻고자 할 때는
에너지
가 가장 높은 쌍곡선 궤도를 사용한다. 태양계를 넘어 외계로뉴호라이즌스 호는 얼음 조각과 소행성들이 모여 있는 ‘카이퍼 벨트’와 태양계 밖을 향해 계속 나아가고 있다. 탐사기술이 더 발달하면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최근 주목받고 있는 ‘광합성 전기 수확 기술’은 이렇게 분해된 전자를 빼내서 전기
에너지
로 사용하는 기술이에요.단국대학교 배성재 교수팀은 식물의 잎에서 직접 전자를 빼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나노미터 두께의 아주 얇은 막에 광합성을 하는 식물 엽록소 세포를 직접 넣어서 햇빛에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