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
생명
체 찾는 엑소마스(ExoMars) 임무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유럽우주국(ESA)이 드릴로 땅을 팔 수 있는 탐사로봇을 화성에 착륙시키는 임무를 계획하고 있다. 외계
생명
체를 찾기 위해서다. 임무는 두 단계로 진행된다.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배 안에 쌓인 뻘이 날려서 시야를 가리거나, 선체에 남아있는 기름이 유출되면 잠수사의
생명
이 위험해질 수 있다.기계로 대체하는 방법은 없을까. 무인잠수정(ROV)을 투입해서 말이다. 일단 맹골수도의 조류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무인잠수정 대부분은 프로펠러를 돌려 움직이는데, ... ...
박종화
생명
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야기를 들어보자. 프로그래밍을 좋아했던 부산출신의 소년은 컴퓨터로 노화와 관련한
생명
현상의 비밀을 풀겠다는 생각에 서울대 수의학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컴퓨터라는 개념조차 생소한 시대였다. 컴퓨터와 생물을 접목해 연구를 하는 학자도 없었다. 결국 그는 서울대를 중퇴하고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손꼽힌다.
생명
이 지구의 환경을 바꿨고, 그 환경은 다시
생명
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다.
생명
과 지구의 공진화는 산소를 매개로 이뤄졌다.그렇다면 시아노박테리아가 처음 만들어낸 산소는 어디로 갔을까? 우리의 마지막 목적지에서 이때 만들어진 산소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최초의 산소는 아직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매년 910억 kg이나 된다. 동물은 식물을 먹음으로써 질산염을 얻는다. 결국 거의 모든
생명
체가 번개 덕분에 공기 중의 질소를 이용할 수 있는 셈이다.번개는 숲 생태계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대개 키가 큰 나무가 번개에 맞을 확률이 높은데, 나무가 번개를 맞으면 내성이 약해져 곤충이나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육식화, 도시화, 병원화 그리고 대유행이런 일이 벌어진 것은 바이러스가 숙주의
생명
을 위협하지 않는 쪽으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숙주를 금방 죽이면 바이러스 자신도 살 방법이 없어진다. 가급적 오래 살려야 바이러스도 오래 살고 잘 퍼진다.그런데 반전이 생겼다.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거든요. 응용수학 분야를 연구하지 않는 사람들도요.을 쓰면서 가장 흥미롭게 느낀 점은 무엇이었나요?카오스 이론으로 ‘플랑크톤의 역설’을 설명한 것이었습니다. 플랑크톤의 역설은 제한된 자원을 놓고 여러 종이 경쟁하는데도 일부 우세한 종만 ... ...
도요새는 왜 봄에 우리나라로 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울창한 아름드리 나무로 변신해요. 아무 것도 살 수 없는 황량한 땅이 몇 주 사이에
생명
이 넘쳐나는 활기 넘치는 땅으로 바뀌는 거예요. 이런 큰 변화는 온대지역의 땅이 비옥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랍니다.봄에 식물의 잎이 돋아나 먹이자원이 갑자기 풍부해지면 온대지역은 철새들이 새끼를 ... ...
손에 잡히는 초현실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직관적인 조각법이다.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작가는 ‘
생명
애’를 작품에 꾸밈없이 담아냈다. 낯선 모습의 동물들이 당장이라도 살아 움직일 것 같이 생생하게 느껴지는 건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 ...
[과학뉴스] 고구마, 세균이 만든 천연 GMO?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식물을 감염시켜 근두암(뿌리혹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다. 벨기에 겐트대 분자
생명
공학과 티나 킨트 교수팀은 고구마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아그로박테리움에서 전달된 외래 유전자 T-DNA가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고구마 형질을 만들어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유전자는 사람들이 고구마를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