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비결연구 분야에 제한을 두지 않는 그래닉 교수의 철학 때문에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은
생명
현상은 물론 플라스틱을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과 기체나 액체 속에 섞여 있는 특정 분자 등 다양한 대상을 연구하고 있다.폭넓은 분야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비결은 화학과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개발할 수 있으면 자유자재로 드론을 조종할 수 있어 유용하죠. 알고리즘은 드론에
생명
을 불어넣는 마법인 셈입니다.실내에서는 모션 캡처 카메라를 이용해 훨씬 더 정확하게 드론의 위치와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모션 캡처는 사물이나 사람의 움직임을 센서로 인식해 디지털 정보로 옮겨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저자권 문제가 발생하기 좋은 토양이다. 하지만 근본원인은 아니다. 황은성 서울시립대
생명
과학과 교수는 “같은 이공계라도 선진국에선 갈등이 덜하다”고 말한다. 한국적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래야 문제를 풀 열쇠도 발견할 수 있다. 근본원인 중 첫 번째는 성과압박이다. 연구윤리 ... ...
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태양계 행성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었는지, 우리처럼 생겼으리란 보장도 없는 외계
생명
체를 찾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담았다. 2015 ‘행성 오디세이’란 이름으로.▼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PART2. 탐사선 : 위대한 여정의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심지어 몇몇과학자들은 지구인을 화성에 이주시킬 계획까지 세우고 있다. 하지만 화성은
생명
체에게 달갑지 않은 조건도 많이 갖고 있다. 일단 대기가 지구의 100분의 1 수준으로 희박하기 때문에 운석 충돌이나 태양풍의 영향으로부터 전혀 보호받을 수가 없다. 또 대기압이 낮기 때문에 얼어 있는 ... ...
[과학뉴스] “나는 여성 엔지니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엔지니어가 캠페인에 동참했다. 비키니 수영복을 입은 토목공학자, 아이들의 어머니인
생명
과학자, 춤추는 수학자 등 각양각색의 모습이 SNS에 올라왔다. 웽거는 “이런 관심을 기술 분야에서 벌어지는 성차별 문제를 제기하는 데 활용한다면 성공한 셈”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심해 ‘스파게티 괴물’ 촬영!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스파게티 괴물(the Flying Spaghetti Monster)’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이
생명
체가 ‘개충’이라고 부르는, 여러 다세포 생물로 구성된 군체동물의 일종(Bathyphysa conifer)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군체동물은 작은 동물들이 모여 한 몸체를 이루는 생물로, 각 개체는 서로 역할이 나뉘어져 있다.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혈액에는 노화를 방지하는 miRNA가 없나요?기: 전문가들은 혈액에도 있을 거라고 봐요.
생명
연에서도 현재 혈액에 있는 miRNA를 연구하고 있고요. 3년 후쯤이면 알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그때 다시 이야기 하기로 해요. 그때도 굳이 피가 필요할지는 모르겠지만...(뒷걸음질 쳐 사라지고, 뱀파이어는 혼자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끄덕없을 테니까요.하지만 이렇게 들여온 가시박이 야생에 나가면서 문제가 발생했어요.
생명
력이 어마어마했거든요. 넓게 퍼지는 덩굴인 만큼 자라면서 다른 식물이 햇볕을 못 받게 아예 덮어 버렸지요.가을만 되면 뉴스에 등장하는 돼지풀과 단풍잎 돼지풀은 어떨까요? 이 식물은 인간에게 심각한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인류는 언제부터 두 발로 걸었을까? 학계에서는 약 500만 년 전 인류가 원래 살고 있던 숲에서 나와 멀리 이동하면서부터라고 추측한다. 험한 지형을 기어오르고 먼 곳까지 바라보기 위해서 일어나게 됐다는 주장이다. 학자들은 동물과 사람이 네 발 또는 두 발로 걷는 방식을 수학모형으로 만들어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