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초래할지도 모른다. 꼭 필요할 때만 변기물을 내리는 작은 실천 하나로 물 절약에 앞장서 보자.한국인의 변기물 사용량과 용변 배출량1일 변기물 사용량=1인 평균 63L×5000만 명=315만t1년 변기물 사용량=하루 평균 315만t×365일=11억 4975만t1일 대변량=하루 평균 225g×5000만 명=1만 1250t=10t 트럭 1125대1일 ...
- Intro. 수학자가 말하는 복권의 진실, 확률로 풀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확률을 배우고, 수학동아가 만든 복권 ‘수또’ 로 행운도 잡는 일석이조의 기쁨을 누려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자가 말하는 복권의 진실, 확률로 풀다!진실 하나! 복권의 조상은 도박이다!진실 둘! 1등이 1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진실 셋! 복권당첨 확률 높일 수 ... ...
- [수학실험실] 사소한 도전, 과일 탑을 쌓아라!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동전의 반지름 길이가 1이라 가정하고 직접 넓이를 계산해보자. 이제 공간에서 생각해보자. 1590년대 말 영국의 항해 전문가인 월터 랠리 경은 당시 자신의 조수이자 수학자였던 토머스 해리엇에게 배에 쌓인 포탄의 개수를 알 수 있는 방법과 효율적으로 쌓는 방법을 물었다. 해리엇은 고민한 끝에 ... ...
- 깐깐한 헝가리 은행장 '도니 안도니'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업새블라는 누구를 만나러 간 걸까? 쪽지에 있는 내용을 잘 보고 의미 있는 이름을 찾아보자. 꽉 잠긴 연구실 문을 열어라!정답을 알아 낸 썰렁홈즈는 홀로그램이 발명된 1947년 영국으로 떠났다. 물론 은행장 도니 안도니와 다무러도 함께 떠났다.“데니스 가보르는 헝가리 출신 물리학자예요.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오류를 연속한 두자리, 즉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자리가 서로 뒤바뀐 경우라고 제한해보자. 예를 들어 13자리의 숫자로 이뤄진 abcdefghijklm이라는 바코드가 오류로 abcdefghjiklm으로 i와 j가 바뀌었다고 생각해보면, 체크 숫자는 이 오류를 몇 %의 확률로 찾아낼 수 있을까? 이 확률은 문제가 생겼는데도 ... ...
- 색종이로 만든 퍼즐 펜토미노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외에도 풀이법이 다양하다. 직접 만든 펜토미노 조각을 이용해 새로운 풀이법을 생각해보자. 이 밖에도 10×6, 12×5, 15×4 직사각형을 채우는 퍼즐도 있다. 이제 여러분의 손에 달렸다.우리가 잘 알고 있는 폴리오미노우리가 종종 즐기는 ‘도미노 게임’ 은 정사각형을 2개씩 이어 붙인 직사각형 조각을 ... ...
- [수학영재캠프] 다항식의 합동식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등도 생각할 수 있으며, (잉여)합동식도 생각할 수 있다. 그에 관한 문제들을 다루어보자.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다항식의 계수는 실수를 범위로 한다.문제 3a, b, c, d는 모두 다항식이다. 다음을 풀어라.(1) c|b, b|a이면 c|a임을 보여라.(2) d|c, b|a이면 db|ca임을 보여라.(3) b|a, a|b이면 적당한 상수 t에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에너지와 시간 사이에도 적용된다. 어떤 공간이 완전히 텅 빈 무의 공간이라고 가정해보자. 여기에는 시간도 관여한다. 그 공간이 정확하게 에너지가 0인 순간이 존재해야 무의 공간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공간은 에너지와 시간 둘을 동시에 정확하게 알아낼 수 없다는 불확정성 원리에 ...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넣으면 번역 서비스 페이지로 갈 수 있다. 거기서 ‘배가 먹고 싶어’를 영어로 번역해 보자. ‘want to take the boat’라는 결과가 나온다. 해석하면 ‘배를 타고 싶어’로, 명백한 오역이다. ‘옛날에 백조 한 마리가 살았습니다’를 넣으면 ‘Once upon a time there lived 100,000,000,000,001’라는 ...
- Intro. 양자역학과 춤을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모르니까. 공간이동 같은 ‘불가능의 과학’을 통해 현대 양자역학의 진면목을 만나보자. 한 자리에 모으기 힘든 국내외 최고 전문가 7명이 직접 나섰다. 여기에 구태의연한 이론이나 역사 따위는 아예 없다. 지금 전 세계 연구자들이 주목하는 양자역학의 최전선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