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자"(으)로 총 4,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성취감을 맛보는 것이 중요하다. 국어, 영어, 사회, 과학 할 것 없이 어떻게 공부했는지 써보자. 교과서를 몇 번 읽었는지 단어는 언제 외웠는지 쓰는 것이다. 그러면 자신이 공부한 게 초라하게 보일 수 있다. 여기에 자신의 공부 계획을 써서 보완해 나가는 것이다. “운으로 점수가 잘 나오거나 ...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온도보다 높았다면 물 온도는 처음보다 당연히 낮아졌을 것이다. 공을 땅바닥에 던져보자. 공은 처음에 던진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몇 번 통통 튀다가 당연히 정지할 것이다. 우리는 왜 이러한 일들을 당연하다고 생각할까? 1850년 독일의 과학자 클라우지우스는 열에너지가 높은 온도에서 낮은 ...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중요성은 더 커질 전망이다. 전문지식이 없어도 학술지에 논문을 실을 수 있다는 꿈을 꿔 보자. 짬짬이 시간을 내서 게임도 하고 연구에도 보탬이 된다면 꿩 먹고 알 먹고 아닌가 ... ...
- [수학실험실] 사소한 도전, 과일 탑을 쌓아라!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동전의 반지름 길이가 1이라 가정하고 직접 넓이를 계산해보자. 이제 공간에서 생각해보자. 1590년대 말 영국의 항해 전문가인 월터 랠리 경은 당시 자신의 조수이자 수학자였던 토머스 해리엇에게 배에 쌓인 포탄의 개수를 알 수 있는 방법과 효율적으로 쌓는 방법을 물었다. 해리엇은 고민한 끝에 ...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기울어 보인다. 왜 그럴까? 쉽게 이해하기 위해 부드러운 판에 이쑤시개를 삐딱하게 꽂아보자. 평면에서는 두 직선 사이의 각도를 각도기로 쉽게 잴 수 있다. 그런데 공간에서 이쑤시개와 바닥의 판이 이루는 각을 재려면 어느 쪽에서 각도기를 대야 할까?이쑤시개가 동쪽으로 10°기울었다고 하자. ... ...
- 펜보다 키보드수학동아 l2011년 10호
- 키의 크기와 배치를 조절했다. 예를 들어 J 아래에 있는 N과 M, J 위에 있는 U와 I를 비교해 보자. N과 M은 J를 좌우로 나눈 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세 키의 중심점을 이으면 정삼각형이 나온다. 하지만 U는J와 가까운 위치에, I는 J보다는 K와 더 가까운 위치에 놓여 있다. J를 기준으로 U가 N보다 더 ... ...
-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초래할지도 모른다. 꼭 필요할 때만 변기물을 내리는 작은 실천 하나로 물 절약에 앞장서 보자.한국인의 변기물 사용량과 용변 배출량1일 변기물 사용량=1인 평균 63L×5000만 명=315만t1년 변기물 사용량=하루 평균 315만t×365일=11억 4975만t1일 대변량=하루 평균 225g×5000만 명=1만 1250t=10t 트럭 1125대1일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오류를 연속한 두자리, 즉 홀수 번째와 짝수 번째 자리가 서로 뒤바뀐 경우라고 제한해보자. 예를 들어 13자리의 숫자로 이뤄진 abcdefghijklm이라는 바코드가 오류로 abcdefghjiklm으로 i와 j가 바뀌었다고 생각해보면, 체크 숫자는 이 오류를 몇 %의 확률로 찾아낼 수 있을까? 이 확률은 문제가 생겼는데도 ... ...
- 직접 만드는 롤러코스터과학동아 l2011년 10호
- 해보고, 최종안을 결정한다. 스케치를 한 대로 롤러코스터를 만든 뒤에 공을 굴려 시연해 보자. 만약 공이 레일을 이탈했다면 왜 그런지 생각해 보고, 수정한다. 실제 롤러코스터도 만든 뒤에 수천, 수만 번의 시험을 통과해야 손님을 맞을 수 있다.누구나 만들기 쉽게!너무 상세하게 안내해서 ...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에너지와 시간 사이에도 적용된다. 어떤 공간이 완전히 텅 빈 무의 공간이라고 가정해보자. 여기에는 시간도 관여한다. 그 공간이 정확하게 에너지가 0인 순간이 존재해야 무의 공간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공간은 에너지와 시간 둘을 동시에 정확하게 알아낼 수 없다는 불확정성 원리에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