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탄소 나노 튜브가 떠오르고 있어요. 탄소 나노 튜브는 기존의 탄소섬유보다도 수백~수천 배 더 가늘어서 가볍답니다. 이론적으로는 10만km를 늘어뜨릴 수도 있지요. 하지만 아직까진 탄소 나노 튜브를 크게 만들 수 없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답니다. 이외에도 긴 케이블이 공기 ... ...
- [과학뉴스] 태양의 중심은 표면보다 더 빨리 회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연구팀이 태양 표면에서 나오는 파동을 관찰한 결과, 중심핵의 회전속도가 표면보다 4배 정도 빨랐어요. 연구를 이끈 로저 우리츠 교수는 “회전 속도는 천체의 형성 과정을 알아낼 수 있는 단서가 된다”며,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태양의 형성 과정을 밝혀내는 연구를 계속 할 것”이라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장난감 러버덕을 실은 배가 북태평양 한가운데에서 폭풍우를 만나면서부터였지요. 이때 배에 실려 있던 컨테이너가 바다 위로 떨어지면서 2만 8800개의 러버덕이 태평양 한가운데에 쏟아지고 만 거예요. 그때부터 러버덕은 해류를 타고 전세계 바다를 떠돌아다니기 시작했답니다. ◀ 해안가에서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높아지는데, 90m 깊이에서는 사람이 느끼는 압력이 무려 10기압까지 높아지거든요. 배 안에 설치한 조종실에서는 오션원의 팔과 비슷하게 생긴 로봇팔 ●햅틱 장치로 오션원의 팔 움직임을 직접 조절할 수 있어요. 손가락으로 움켜쥘 수 있게 생긴 햅틱 장치는 오션원이 물건을 움켜쥘 때 느끼는 ... ...
- 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날도 점차 늘어나고 있지요. 세계적으로 폭염이 발생한 날이 100년 전에 비하면 무려 5배나 많아졌어요. 일찍 들끓는 봄, 쉴 틈 안 주는 여름우리나라의 폭염도 점점 강해지고 있어요. 예전의 폭염은 보통 장마가 끝난 뒤인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한 달 동안 나타났어요. 그런데 2014년부터는 봄인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엔진과 비행기 엔진엔 큰 차이가 있어요.”조남경 연구원님은 기자단 친구들의 키보다 2배는 커 보이는 엔진을 가리키며 설명을 시작하셨어요.“우주 발사체는 공기가 없는 우주로 나아가기 때문에 연소할 수 있게 산소를 넣어 줘야 해요. 나로호의 경우 연료인 ‘케로신’이 40t이었던 반면, 연소를 ... ...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엄청난 수예요. 더군다나 고혈압과 심장질환 같이 간접적인 피해자는 이보다 수십, 수백 배가 많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요.폭염 대비의 첫걸음은 빠르고 정확한 예보현재 폭염이 닥쳤을 때 대응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피하는 것이에요. 전문가들은 폭염이 오면 기온이 최고에 달하는 낮 12시부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요소와 감독의 지시를 파악해야 하는데, 속력이 너무 빨라 코너를 돌 때면 중력의 최대 5배의 힘이 운전자의 목에 전해진다고 해요.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가면 경주용 차보다 더 빠른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찰차’를 만날 수 있어요. 최대 시속 407km로 기네스북에 오른 이 경찰차는 ‘부가티 ... ...
-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 물고기에 이어 인어 로봇까지. 쫓아다니느라 배만 더 고파졌어.이젠 무엇이든 잡아먹을 수 있을 것 같아. 앗! 깜짝이야! 왜 갑자기 새가 바다로 뛰어들…, 어? 너도 설마 로봇?물고기처럼 부력을 조절해 물과 공기를 왔다 갔다~!작년 2월, 아랍에미리트(UAE) 드론대회에서 ‘룬 콥터’가 국제부문 ...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연구에 참여한 크레이그 토베이 교수는 “붉은 불개미 한 마리는 자기 몸무게의 750배까지 견딜 수 있다”며, “하지만 붉은 불개미는 한 마리가 동료 세 마리의 무게를 견딜 때가 가장 안정적이라는 걸 터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