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운동이라도 반응 시간에 따라 왼손잡이 비율이 다르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특히 배드민턴, 테니스, 스쿼시를 비교했을 때 왼손잡이 비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은, 일정 기준 이상의 평균 반응 속도를 요구하는 운동에서만 왼손잡이 비율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암시하는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하지만 ISS는 길이 73m, 폭 109m, 무게 420t에 이르는 거대한 건축물이다. 미르의 10배쯤 된다. 또 ISS의 궤도가 지구상에서 인구 밀접지역 상공을 지나고 있어 추락은 곧 재난이 될 수 있다. 역사상 가장 큰 우주 비행체가 역사상 가장 큰 우주 쓰레기로 전락할 수 있다(아래 사진). 그렇다면 ISS를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조사를 마친 뒤에는 부재에 전자태그(RFID)를 달고 수장고에 배치한다. 부재 종류, 현황, 위치 등의 정보로 부재를 검색할 수 있는 셈이다. 문득 이곳이 거대한 도서관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첫 부재 수장고그동안 우리나라에는 전통 건축 부재를 보존할 수 있는 ... ...
- [Issue] 어서와, 경제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00만 달러(약 131억 원)일 것이라고 추산했다. 트라이스타의 생산량이 150대에서 300대로 두 배가 됐을 때 대당 생산비용은 1550만 달러에서 1200만 달러로 22% 가량 절감된다(아래 그래프). 생산량을 늘릴수록 원가가 떨어지는 이유트라이스타의 비용 추산 결과가 나타내는 바는 명확하다. 생산량이 ... ...
-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여기 목 아래론 기계와 결합된 사이보그지. 내 머리 앞쪽에 들어 있는 특별한 칩 덕분에 10배 더 빨리 기억할 수 있단다. 넌 어떤 사이보그니?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Part 3.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길이가 3.4km에 이른다”고 말했다. 750m인 일본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SACLA)보다 무려 3배 이상 길다.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1km 정도다. 3km가 넘는 긴 터널은 많은 의미를 가진다. E-XFEL의 시작은 독일 전자싱크로트론연구소(DESY)다. 여기서 쏜 전자가 E-XFEL에 도착한다. DESY는 1세대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들러리는 동료 우주인이 맡았다. 결혼반지는 우주 화물선을 통해 지구로부터 배송됐다. 세상에서 가장 비싼 결혼식을 치른 셈이다. #폭발 ISS가 ‘꽃길’만 걸어온 것은 아니다. ‘인류 역사상 가장 비싼 건축물’이란 별칭 뒤에는 순탄치만은 않았던 고생길이 있었다. 시작부터 삐걱댔다. 19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무역(貿易)을 하는 배를 움직이게 하는 바람(風)’이란 뜻이에요. 옛 상인들이 일 년 내내 풍향이 일정한 무역풍을 타고 항해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지요. ‘무역할 무(貿)’는 ‘조개 패(貝)’와 ‘토끼 묘(卯)’로 이루어져요. 과거엔 조개가 화폐로 쓰여 ‘貝(패)’는 재산을 뜻하게 됐지요. ...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72시간을 기다려서 세모배매미를 발견한 일 등 잊지 못할 추억들이 많답니다.” 배윤혁 연구원은 내년에도 전국 곳곳을 다니며 매미 탐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해요. “함께 매미 탐사를 가고 싶은 지사탐 대원이 있다면 얼마든지 환영이에요. 단, 한여름에 산을 타고 풀숲을 헤치며 다니는 것은 ... ...
-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서 온 소행성 첫 관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궤도를 따라 움직였거든요. 오우무아무아는 가늘고 긴 모양으로, 한 축이 다른 축보다 10배 이상 길고 평균지름은 100m 정도예요. 또 7.3시간을 주기로 자전하고 있지요. 표면은 딱딱한 암석처럼 보이는데, 어두운 붉은색을 띠고 있답니다. 거문고자리의 직녀성 방향에서 날아온 것으로 추정되며, 평균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