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만나게 돼요. 개구리 발처럼 갈라져 있는 자유신경종말은 우리 몸의 맨 끝(바깥)에서 감각을 느끼는 부분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일 수 있지요. 그래서 마치 자석에 끌려가듯 히스타민이 있는 진피층 근처로 이동한답니다. 그럼 자유신경종말은 히스타민에 의해 자극을 받고 되고, 이 자극은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든 주사기의 한쪽 끝을 손가락으로 막고 피스톤을 밀어주면 공기가 새어나오지 않아도 주사기 속 공기의 부피(V)가 줄어든다. 이처럼 기체의 부피는 압력(P)이 커지면 줄어든다. 바로 보일의 법칙(P∝1/V)이다. 공기주머니에 불을 지피면, 온도(T)가 올라갈수록 부피도 늘어난다. 샤를의 법칙(V∝T) 이다. ...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기원과 진화, 은하의 형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 데 쓰인다. 천문 연구의 시작과 끝은 SW천문학에서는 적외선과 자외선 등 눈에 보이지 않는 파장의 빛까지 측정하는데, 그 중에서도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측정한 데이터는 이미지로 기록된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가장 ... ...
- [교과연계수업]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가 더 가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만나게 돼요. 개구리 발처럼 갈라져 있는 자유신경종말은 우리 몸의 맨 끝(바깥)에서 감각을 느끼는 부분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일 수 있지요. 그래서 마치 자석에 끌려가듯 히스타민이 있는 진피층 근처로 이동한답니다. 그럼 자유신경종말은 히스타민에 의해 자극을 받고 되고, 이 자극은 ... ...
- 거대 마젤란망원경, 설계 끝 건설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거대마젤란망원경(GMT)이 본격적인 제작에 들어갔다. 지름이 8.4m, 무게가 17t인 거대한 반사경 7장을 벌집 모양으로 연결해 만든 GMT는 허블우주망원경보다(HST)보다 10배나 선명한 영상을 얻어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6월 3일 GMT의 최종 설계 이미지를 공개하면서 2024년 정상 가동을 목표로 건설을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가까웠기 때문에 전자기력까지 기하학으로 바꿀 수 있는 통일장 이론을 탐구했다. 끝으로, 거리함수 해석은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을 단지 미분방정식일 뿐이라고 보는 접근이다. “입 다물고 계산이나 하라”는 식의 관점이며, 동시에 현재의 주된 관점이기도 하다. 나아가 아인슈타인 자신을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구성하는 ‘엑스콘’, 기관차의 유지보수를 돕는 ‘델타’ 시스템 등이 있다.오르막길 끝에는 필히 내리막길이 있는 법일까. 전문가 시스템도 얼마 못 가 한계를 드러냈다. 대표적인 문제가 ‘지식 추출의 병목 현상’이다. 전문가 시스템은 전문가 인터뷰나 전문서적을 토대로 설계됐는데, ... ...
-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개발했다고 6월 8일 보도했다.연구팀은 면적이 약 70m2인 공간을 지정해 실험했다. 공간 양 끝에 2대의 WIFI 신호기를 설치한 뒤 지나다니는 사람 수에 따라 신호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다. WIFI 신호가 사람 몸에 닿으면 반사파가 생성돼 원래 신호와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관측한 것이다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많이 했어요. 그런데 천만다행히도 세 달 내내 바다가 잠잠했습니다. 아무 사고 없이 잘 끝났죠. 이 이야기를 유가족들한테 했더니, ‘애들 빨리 꺼내달라고 하늘도 도와준 모양’이라고 이야기하더군요.”세월호 안에는 아직 9명의 미수습자가 있다. 이들을 가족 품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수많은 ...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먼저 변신에 성공한 건 양배추예요. 1200년대, 야생 양배추에서 줄기 끝에 달린 눈인 ‘끝눈’이 잘 발달하는 종을 골라 *교배 시키는 과정을 반복했어요. 그 결과 지금의 양배추가 탄생했지요. 이와 같은 원리로 케일은 잎, 브로콜리는 꽃과 줄기, 콜리플라워는 꽃무리, 콜라비는 줄기, 방울양배추는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