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탐사선마다 1시간을 채 버티지 못하고 고장이 났다. 소련은 수차례 실패를 반복한
끝
에 1967년 6월 처음으로 베네라 4호를 금성의 대기층에 진입시켰다. 베네라 4호는 처음으로 금성의 관측자료를 지구로 전송했다. 과학자들은 금성 대기의 약 90%가 이산화탄소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 수 있었다.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뜨기도 전에 집을 나서고, 높은 산에서 사진을 찍으려 산을 오르고 또 오른다. 그런 준비
끝
에 태어나는 것이 찰나의 순간을 포착한 멋진 사진이다.[보르니에는 멋진 빛을 놓치지 않는 작가다. 아침나절에 나무 사이로 비추는 빛을 포착하기 위해 그는 일부러 목동을 불렀다. 평생 모델이라곤 해본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소식을 알렸다. 학교 안에서 가뭄의 흔적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하루 종일 돌아다닌
끝
에 ‘노랗게 뜬 나뭇잎’과 ‘바닥을 드러낸 시냇물’을 찾았다. 애정을 가지고 지금 사는 곳을 이해하는 게 건축이라는, 영화 ‘건축학개론’의 대사가 떠올랐다.수희 씨는 활동적인 건축 수업을 늘 들어보고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풍겨왔어요. 바로 불개미의 개미산 냄새였어요! 개미는 위협을 감지하거나 공격할 때 배
끝
부분에서 산성을 띠는 개미산을 내뿜어요. 이 냄새는 개미마다 조금씩 다른데, 불개미의 개미산에서는 유황냄새가 난다고 해요.원래 개미학자들은 채집해온 개미의 행동을 가까이에서 관찰하며 과학적으로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주변의 자갈로 연못 바닥에 하나의 층을 만들고 그 위에 부들이나 갈대를 심는다. 그럼
끝
, 황금연못 완성이다. 자갈 아래까지 자라난 뿌리와 자갈에 붙는 미생물은 하수에 있는 유기물을 처리한다. 옹달샘은 더 간단하다. 자갈이나 모래, 숯 등을 멤브레인처럼 이용해 물을 걸러주기만 하면 된다.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실린 이야기는 수학 개념의 배경이나 역사를 알려주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야기를
끝
까지 읽어도 수학 개념은 잘 남지 않는다. 중학교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홍창섭 경희고 수학 교사는 “수학 교사들이 정해진 단원에 맞춰 이야기를 끼워 넣다 보니 내용이 억지스러워지는 경우가 ... ...
[과학뉴스] 인공위성 고치는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한번 연료가 떨어지면
끝
이다. 우주에서 연료를 충전하는 데 드는 비용이 새로운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비용보다 비싸기 때문이다. 자동차로 치면 기름이 떨어질 때마다 차를 바꿔야 하는 셈이다. 고장 난 부위를 수리하기도 힘들다. 이런 낭비를 줄이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정비부서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전까지는요.그: 그러니까 제 말대로 웨이저스 교수팀의 연구가 맞다는 거잖아요.기:
끝
까지 들어봐요. GDF11에 대해 연구하던 미국 노바티스 생명의학연구소 데이비드 글래스 박사팀은 웨이저스 교수팀의 결과를 보고 ‘우리가 실험 과정에서 빠뜨린 게 있나?’라고 고민했다고 해요. 지금까지 알려져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손 이식과 달리 팔 이식은 윗팔부터 손가락
끝
까지 너무나 긴 거리이기 때문에 재생이
끝
나지 않은 상태에서 신경이 죽을 수도 있었다. 그런데 우연히도 면역억제제에서 신경 재생을 촉진시키는, 의도치 않은 작용이 나타났다. 이 남성은 수술 1년만에 팔꿈치를 접었다가 펼만큼 기능을 회복할 수 ... ...
[Fun] 영장류학자가 찾은 인류 폭력성의 기원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때문에 싸움이 붙는 경우는 종종 있어도, 승자가 결정되고 갈등이 해소되면 그걸로
끝
이다. 그럼 인간의 폭력성은 어디서 온 걸까. 주이치 교수는 자신이 관찰하던 침팬지 무리에서 그 실마리를 찾았다. 침팬지의 싸움은 인간의 싸움과 뚜렷한 차이가 있다. 침팬지는 목숨을 걸고 싸우지 않는다.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