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82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않고 대량 생산하는 데도 아직 한계가 있다. 자넷 로산트 캐나다 토론토대 분자유전
학과
교수는 "사람의 배반포를 구성하는 원시 내배엽이 잘 형성되지 않는 것 같고 다른 세포도 섞여 있다"며 "배반포를 만드는 효율이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 ...
과기정통부 1차관에 용홍택·2차관에 조경식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아온 관료 출신이다. 조 차관은 서울 배재고와 고려대 경영
학과
를 졸업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공공정책학 석사와 미국 미시간주립대 재무관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행시 34회로 정보통신부 공직을 시작해 통신방송정책총괄팀장을 거쳐 2008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자화상
2021.03.25
tistory.com/422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
학과
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 ...
[과기원은 지금] 김도현 KAIST 교수, 마이크로섬유 대량생산 공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ACS) 나노’에 2월 17일 공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4일 남궁선 물리
학과
교수와 미국 미네소타대 연구팀이 10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 채널을 갖는 초미세 반도체 전극과 2차원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안의 패턴을 빛으로 그리는 공정이 필요없어 대량생산에 유리할 ... ...
코로나19 팬데믹 1년, 무엇이 잘못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제목의 논평을 JAMA에 23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공중보건
학과
교수를 겸직하고 있는 고스틴 소장은 국가 및 세계 보건법에 관한 WHO 협력 센터의 이사와 국제 보건 규정 (IHR) 전문가위원회 및 정신건강 전문가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이전에는 천연두, 게놈 염기 서열 분석 ... ...
부작용 없는 뇌 신호 측정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박홍규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교수(고려대 물리
학과
) 연구팀이 부작용 없이 빛으로 뇌신경을 자극해 뇌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뇌에 삽입된 딱딱한 탐침은 뇌 세포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뇌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 ...
[과기원은 지금] UNIST, '나노주름' 관찰·제어 동시 가능한 나노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광발광 나노현미경’을 개발했다.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박경덕 물리
학과
교수팀이 2차원 반도체에서 나타나는 ‘나노주름’을 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의 정밀도로 관찰할 수 있는 ‘능동형 탐침 증강 광발광 나노현미경’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 ...
항우연 원장에 이상률 책임연구원·KISTI원장에 김재수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장 등을 지냈다. 김 신임 원장은 1985년 홍익대 전자계산
학과
를 졸업하고 1987년 한국외대에서 전자계산학 석사를 취득했다. 2009년 홍익대에서 전자전산공학 박사를 받았다. 1991년부터 KISTI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국가과학기술데이터본부장, 융합기술연구본부장, ... ...
‘빅뱅 머신’ LHC, 10년 간 힉스 포함 59개 새 입자 발견…국내 중소기업 역할 톡톡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입자다. ○ 쿼크 4개 ‘테트라쿼크’ 수십년 만에 첫 발견 윤진희 인하대 물리
학과
교수는 “2012년 힉스가 발견되면서 표준모형을 구성하는 마지막 퍼즐 조각은 채워졌지만 이들을 묶는 힘에 대해 여전히 모르는 점이 많다"며 "LHC에서는 지금도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 같은 표준모형의 ... ...
네이처 "코로나19 집단면역 형성 어려워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0
100%가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했다. 매튜 페라리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생물
학과
교수는 "높은 면역률이 오히려 면역이 형성된 사람을 감염시키는 변종을 만들어낼 수 있다"며 "빠르고 철저하게 예방 접종하면 새로운 변종의 출현을 막을 수 있지만 백신 접종 불균형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