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5,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티라노사우루스도 노아의 방주에 탔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짚어보겠습니다. 일단 방주에 그 많은 동물이 다 탈 수 있느냐는 의문에 대해서는 동물의 종류를 제한하더군요. 성경에 따르면 코로 호흡하는 동물만 탔다고 되어 있답니다. 곤충은 코로 숨을 안 쉬니까 빼고, 어류는 어차피 물에 사니까 뺍니다. 포유류 3500종, 조류 8600종, 파충류와 양서류 5500종에서 ... ...
-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사용)과 물질에 흡수되는 방사능의 에너지양인 Gy(그레이), 그리고 그레이에 방사선 종류에 따른 영향인 ‘방사선 가중계수’를 곱한 값인 Sv(시버트)야. 피폭 정도를 확실히 알 수 있는 단위는 Sv란다. mSv(밀리시버트)의 형태로 가장 많이 사용해. 오른쪽의 표를 보면 생활 속에서 받는 방사선량과 그에 ... ...
- 최첨단 지도 연구 현장 국토지리정보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우리나라 국토와 관련된 모든 측량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어요.김하은 : 기준점도 여러 종류가 있나요?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해 주세요.국토측량과 문지영 : 대표적으로 높이 측량의 기준이 되는 ‘수준점’과, 평면에서 위치를 결정지어 주는 ‘삼각점’이 있어요. 수준점은 전국에 약 7000개 정도 ... ...
- 김주황의 악당예찬7 - 순식간에 재생하는 암줄기세포? 익스트리미스 군단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줄기세 포가 발견됐다. 암줄기세포는 줄기세포처럼 자기복제능 력을 가지면서 어떤 종류의 암으로도 분화할 수 있다. 발현되기 전에는 잠자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 항암제에는 소멸되지 않는다.익스트리미스는 전신을 암줄기세포로 만들고, 세포 핵에 있는 혹스 유전자를 조작하는 약이 ...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크기가 커질 때까지 놔두자는 의사연대의 주장에도 허점은 있다. 암은 크기뿐 아니라 종류와 형태, 모양, 위치, 퍼져있는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0.6~1cm 크기의 암이라도 림프절에 전이됐거나 갑상샘 막을 뚫고 나왔으면 수술해야 한다. 이보다 작더라도 키큰세포, 섬모양세포, 수질암, ... ...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바이러스를 두고 ‘H5N8’형이라고 부른다. 이 H5N8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적이 없는 종류라고 한다. 그렇다면 H5N8은 무슨 뜻일까?사람이나 돼지, 조류를 감염시킬 수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두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해 분류하고 이름을 붙인다. 즉 H5N8은 바이러스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물론 준결정의 구조를 밝히는 데 큰 기여를 했다. 그는 좁은 마름모와 넓은 마름모 두 종류의 조각으로 비주기적인 타일링 구조를 찾아냈다. 하지만 당시는 아직 셰흐트만 교수가 준결정을 발견하지 못한 때였다. 따라서 펜로즈 타일링은 그저 수학의 유희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1982년 결정학자 앨런 ... ...
-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가 1958년에서 1960년 사이에 발표한 작품 ‘원 극한’ 시리즈에는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한 종류인 ‘쌍곡기하학’이 구현돼 있다.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수학에서 성서와도 같았던 유클리드 기하학을 깼을 뿐만 아니라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전개하는 데 기여했다.유클리드 기하학은 몇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빨간’ 장미다. 17세기 네덜란드인을 사로잡은 튤립은 핏빛 바탕에 흰 줄무늬가 있는 종류였다. 소설가 김훈은 수련을 보고 “열리는 꽃 속에서 빛과 색이 쏟아져 나온다”고 썼다.실제로 꽃은 색을 만드는 뛰어난 화학자다. 꽃잎에 들어 있는 대표적인 색소가 ‘안토시아닌’이다. 이 물질은 ... ...
- 황우석 대 오보카타 하루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체세포를 약산성 용액에 담가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가능한 세포, 일명 ‘스탭(STAP·자극촉발만능)세포’를 확립했다는 ‘네이처’의 두 논문이 철회될 위기에 처했다. 논문의 주저자인 오보카타 하루코 일본이화학연구소(이하 리켄) 연구주임은 3월 14일 리켄의 중간조사 발표장에 모습을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