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5,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K-Pop 스타도 깜짝 놀란 홀로그램 콘서트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바로 플로팅 홀로그램의 방식으로 만들어졌다.한편, 하츠네 미쿠의 콘서트는 또 다른 종류의 영상 기술이다. ‘프리 포맷’이라 불리는 이 기술은 무대 뒤에 설치된 프로젝터가 무대 위 스크린에 직접 영상을 비추는 방식이다. 프리 포맷의 스크린은 페퍼스 고스트에서 쓰이는 투명 스크린과 달리, ...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에너지 크기가 다를 뿐 같은 종류의 파도다. 그런 식으로 파도는 심해파와 천해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먼 바다에 나갈 때 흔히 볼 수 있는 너울은 심해파다. 배를 위아래로 출렁이게 하는 파도로, 수심이 파장의 1/2보다 깊을 경우 만들어진다. 수심이 깊어 파가 밑바닥의 영향을 받지 않기 ... ...
- 선택 2014, 무한도시 시장을 뽑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출마한 무한 시장 선거 투표용지를 교호순번제로 제작한다고 가정하면, 아래와 같이 총 6종류의 투표 용지가 필요하다. 무한도시 선거에서 더 공정한 선거를 위해 후보자의 순서를 아예 무작위로 배치하기로 했다면 그 경우의 수는 얼마나 될까? 이는 6명을 차례대로 줄 세우는 경우의 수와 같다.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3갈래인 ‘세뿔투구 꽃’, 씨방에 털이 없는 ‘그늘돌쩌귀’ 등 사촌 지간인 식물 이 18종류나 있습니다. 더 재미있는 것은 여러해살이 풀 이면서 덩이뿌리는 한 해만 산다는 것입니다. 이듬해엔 약간 옆에 있던 뿌리에서 새싹이 나오지요. 한 자리에서 몇 년씩 양분을 빨아들이는 것보다 옆의 기름진 ... ...
- 역겨움을 역겹게 느끼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낮아지면 감염과 상관 없는 외국인이나 낯선 사람에 대한 거부감(역겨움과 같은 종류의 강한 부정적 정서)이 더 심해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도 있다. 평소에 비위가 좋지 않아 역겨움을 자주 느끼는 사람(역겨움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외국인에 대해 더 차별적인 ... ...
- 개와 고양이가 자외선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런던 시티대학교 생물학과의 론 더글라스 교수 연구팀은 동물원에서 이미 죽은 여러 종류의 동물들을 기증받았어요. 그리고 동물의 눈에 자외선을 쏘아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까지 도달하는지 측정하는 실험을 했지요. 그 결과 개와 고양이, 흰담비, 고슴도치 같은 동물은 자외선이 수정체를 지나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방법으로 팀에 점수를 매겨 순위를 내는데, 이것이 바로 ‘FIFA 순위’다. 승패 결과, 경기 종류, 상대팀의 실력 정도, 대륙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 점수를 매겨 계산하고, 순위는 월마다 발표한다.2014년 5월 기준 순위로 H조 각 나라의 순위는 러시아 18위, 알제리 25위, 벨기에 12위,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간단하다. 둘이 서로 다른 기억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억상실증은 그 중 특정한 종류의 기억을 대상으로만 일어난다.심리학자 엔델 털빙 교수는 기억을 크게 외현기억과 내재기억으로 나눴다. 외현기억은 다시 의미기억과 삽화적 기억, 자서전적 기억으로 나누고, 내재기억은 절차적 기억이나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각각 서로 다른 파장의 빛에 반응했지요. 반면, 신세계원숭이는 X염색체 위에 한 종류의 옵신 유전자가 있었습니다. 이 유전자가 발현되면 2가지 색을 구분할 수 있었지요. 즉 신세계원숭이 수컷은 X염색체가 하나이기 때문에 무조건 두 색만 구분할 수 있는 반면, 암컷은 서로 다른 X염색체를 가진 ... ...
- 과학의 탈을 쓴 손금쟁이…, 아니 지문쟁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파악한다는 건지 관련 기관 홈페이지를 둘러봤습니다. 지문이란 무엇인가, 지문의 종류, 지문학의 역사, 지문과 유전, 지문의 민족 차이 등의 제목을 달고 그럴 듯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외국 과학자들의 이름도 여기저기 나오고요. 아무생각 없이 봤다가는 정말 과학적인 건가 싶습니다.“지문이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