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법칙◀ 자연 속의 프랙탈. 계속 확대해도 전체 모양이 반복된다.법칙이 있다고 해서 미래를 항상 예측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올 여름 태풍이 언제 올지 알려면 나비 한 마리의 움직임까지 조사해야 하니 말이다. 하지만 이것은 원리적으로 예측 못하는 것이 아니라 너무 힘들어서 못하는 것이다. 만약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더 좋은 망원경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측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변화를 통해 표면 구조도 알아낼 것 이다. 외계 위성은 태양계 밖 생명체 탐색에 점점 더 중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현대판 노아의 방주로 불리는 ‘스발바르 국제 씨앗 저장고’에서 잠자고 있는 벼야. 미래의 귀중한 먹거리가 되는 꿈을 꾸고 있지. 지난 2008년 한국에서 보리, 콩, 옥수수들과 함께 ‘토종 작물 씨앗 5000종’에 뽑혀 이 곳으로 이사 왔단다. 최대 1500만 종의 씨앗을 보관할 수 있는데 지금은 약 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대수, 그리고 물리학의 상관관계가 주제였다. 지금까지 우리가 관측한 상호 작용이 미래에는 어떻게 진화해 나갈지에 대한 공상이 많이 있었는데, 물리학에서의 역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학 구조를 수록할 때 내 연구 분야인 산술기하학도 포함시킨 것이 당연하면서도 흐뭇했다. 그러니까 ...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블루칼라의 성격이 강해요. 중요한 건 내가 노동을 해서 얻는 생산가치가 국가의 미래를 살린다는 자부심이에요. Q 신범근(서울 한성과학고 2) 구리나 텅스텐 등 중요한 자원을 몇몇 국가가 독과점하고 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A 안타깝게도 한국은 천연자원이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들은 최근 부쩍 늘고 있는 ‘인종별’ 맞춤 의학과 교육을 언급하며 “과학과 사회의 미래에 위험을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이런 토론회가 마련된 배경에는 최근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유전체학(게노믹스)이 있다.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에 의해 인류의 첫 번째 유전체가 해독된 ... ...
- 13th 전국 학생 과학·수학 논술대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개막식에 참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중.고등부 대상 수상자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과 상금 100만 원을 받는다. 전국 최대 규모와 전통을 자랑하는 전국학생 과학·수학 논술대회에 참가해 글쓰기 실력도 뽐내고 특별한 체험도 챙겨보자.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mini.itamtam.co.kr/essay2014) 참조 ... ...
- 2014년 '올해의 직업' 1위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높은 순위에 올라 주목을 받았다.특히 수학자는 미국에서 수요가급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래의 전망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커리어캐스트의 담당자인 토니 리는 “조사 결과 공기업과 사기업은 물론이고 정부 기관, 교육 기관 등 거의 모든 곳에서 수학자를 필요로 하고 ... ...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빅데이터를 이용한 정치 정보 플랫폼 '포커(http://pokr.kr)'를 만들어 청년부 최고상인 미래부장관상을 수상했다.포커는 어떤 사이트인가요?포커는 국회 입법정보를 국민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사이트예요. 포커에는 의원별, 정당별, 시기별 모든 입법정보가 한데 모여 있지요. 각 법안이 어느 ... ...
- 세월호 참사, 무게중심 흔들어버린 人災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남아있는 에어포켓의 부피를 추정하기 꺼려했다. 이동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미래선박연구부장은 “선미가 닿아있는 해저 지면이 배를 떠받치고 있는 힘을 알 수 없어 부력을 계산하기 어렵다”고 했고, 익명을 요구한 일부 전문가들은 “에어포켓이 없어도 선미가 선수보다 훨씬 무겁기 때문에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