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직업”이라고 전한다. 단, ‘내가 궁금한 질문’을 파고들라고 조언한다. “과학계에서 미래의 유망한 분야, 일명 핫한 주제를 미리 아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어떤 주제가 인기를 얻을 때쯤이면 이미 많이 밝혀져서 연구할 게 거의 남아있지 않죠. 남을 쫓아가는 대신 내가 재미있는 연구를 꾸준히 ...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좋은 떡이 정말 맛도 좋다이탈리아의 요리사인 필립포 마리네티는 1932년에 출간한 ‘미래주의자 요리책’에서 손가락을 벨벳과 사포에 각각 올려놓고 같은 음식을 먹었을 때, 음식의 부드러움이 완전히 달랐다고 했다. ‘맛’을 직접 결정하는 것은 미각과 통각, 후각이지만 분위기처럼 맛과 직접 ... ...
- 과학의 탈을 쓴 손금쟁이…, 아니 지문쟁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갈등을 겪기도 하지요. 나이가 든다고 해서 다 알게 되는 것도 아니고요. 저도 여전히 미래를 고민한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이렇게 어려운 고민을 하는 사람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무책임한 상담으로 돈벌이를 하는 건 나쁜 짓입니다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법칙◀ 자연 속의 프랙탈. 계속 확대해도 전체 모양이 반복된다.법칙이 있다고 해서 미래를 항상 예측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올 여름 태풍이 언제 올지 알려면 나비 한 마리의 움직임까지 조사해야 하니 말이다. 하지만 이것은 원리적으로 예측 못하는 것이 아니라 너무 힘들어서 못하는 것이다. 만약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공부가 자기 길이 아니라며, 앞으로 게임 개발자가 될 것이기 때문에 게임을 하는 것은 미래에 대한 투자라고 말만 번지르르하게 합니다. 게임밖에 모르는 제 동생, 어떡하면 좋을까요?대결 상대를 정하는 방법에 수학이 있다!요즘 동생이 푹 빠져 있는 게임은 일명 ‘롤’이라고 불리는 ‘리그 오브 ... ...
-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다른 현으로 대피했지만, 제대로 대피하지 못했거나 고향으로 다시 돌아간 사람들의 미래는 어떻게 될 지 정말 걱정돼. 게다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니….이 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여러 자료를 찾던 중에 한국에 퍼진 ‘괴담’에 대해서 더욱 확실히 알게 됐어. 어느 정도 사실에 가까운 것도 있지만, ... ...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빅데이터를 이용한 정치 정보 플랫폼 '포커(http://pokr.kr)'를 만들어 청년부 최고상인 미래부장관상을 수상했다.포커는 어떤 사이트인가요?포커는 국회 입법정보를 국민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사이트예요. 포커에는 의원별, 정당별, 시기별 모든 입법정보가 한데 모여 있지요. 각 법안이 어느 ... ...
- 생활 속 고민거리, 통계로 풀어 보세요!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선거 결과를 미리 예측할 수도 있다. 이처럼 통계는 다양한 분야의 미래를 예측하는 과학적 방법으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통계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통계청에서는 청소년들이 통계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1998년부터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들은 최근 부쩍 늘고 있는 ‘인종별’ 맞춤 의학과 교육을 언급하며 “과학과 사회의 미래에 위험을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이런 토론회가 마련된 배경에는 최근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유전체학(게노믹스)이 있다. 2003년 인간게놈프로젝트에 의해 인류의 첫 번째 유전체가 해독된 ...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블루칼라의 성격이 강해요. 중요한 건 내가 노동을 해서 얻는 생산가치가 국가의 미래를 살린다는 자부심이에요. Q 신범근(서울 한성과학고 2) 구리나 텅스텐 등 중요한 자원을 몇몇 국가가 독과점하고 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A 안타깝게도 한국은 천연자원이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