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크기와 두께 등 디자인을 제한해왔기 때문이다. 세상에 없던 유연한 배터리를 탑재할 미래형 스마트 기기는 지금은 아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모습으로 우리 앞에 찾아올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앞으로는 이 전구세포를 대상으로 직접교차분화 연구가 더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미래에는 직접교차분화 기술이 대세 야마나카 교수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처음 발표한 2006년 논문은 현재까지 약 1만 번에 이르는 인용횟수를 자랑하고 있다. 그동안 매일같이 평균 3~4편의 인용문헌이 발표된 것으로 ...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이 정도만 해도 상당한 기술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번 결과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근미래에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는 프로그램이 나올 수 있을 것 같다는 분위기가 중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영화 ‘그녀’의 주인공인 시어도어는 대화를 통해 연인처럼 상처를 어루만져주는 인공지능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2] 김영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김영사에서는 박 박사가 번역하는 다음책도 준비 중이다. 미치오 카쿠의 ‘마음의 미래’인데, 마음과 의식의 비밀을 연구하는 물리학에 대한 글이다. 미국의 종합투자은행인 J. P. 모건에서 자사의 백만장자 고객을 위해 발표한 올 여름 필독서에 들어간 책이다. 기자도 책이 출간되는 즉시 읽어볼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높은 메탄엔진을 사용한 것이 여러 모로 합리적인 선택이었다. 아마도 멀지 않은 미래에는 원자력로켓과 플라스마 로켓을 화성 탐험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때가 되면 편도 비행기간이 6개월에서 3개월 이내로 단축될 것이고, 십 수 년 내로 목성까지도 탐사할 수 있을 것이다. 지구-화성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현대판 노아의 방주로 불리는 ‘스발바르 국제 씨앗 저장고’에서 잠자고 있는 벼야. 미래의 귀중한 먹거리가 되는 꿈을 꾸고 있지. 지난 2008년 한국에서 보리, 콩, 옥수수들과 함께 ‘토종 작물 씨앗 5000종’에 뽑혀 이 곳으로 이사 왔단다. 최대 1500만 종의 씨앗을 보관할 수 있는데 지금은 약 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대수, 그리고 물리학의 상관관계가 주제였다. 지금까지 우리가 관측한 상호 작용이 미래에는 어떻게 진화해 나갈지에 대한 공상이 많이 있었는데, 물리학에서의 역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학 구조를 수록할 때 내 연구 분야인 산술기하학도 포함시킨 것이 당연하면서도 흐뭇했다. 그러니까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교수를 만났다. 기술에 대한 호기심으로 똘똘 뭉친 이들은 깨끗하면서도 편리한 미래를 열어줄 화학생물공학의 매력에 푹 빠졌다.▶ 응용에 살고지고과학과 기술은 현실에 이로워야 제맛!Q 화학생물공학부는 무엇을 하는 과인가요?A 화학생물공학부는 화학과 생물학을 응용하는 학문으로, 크게 네 ... ...
- 1991년 노벨 생리의학상 에르빈 네어 박사 “좋은 과학자가 되기 위한 한 가지, 바로 호기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돈 되는 과학에 투자하는 경향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기초과학이 없으면 미래를 바꿀 만한 새로운 지식이 나오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길게 보면 기초과학에 충분히 투자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독일뿐 아니라 한국 정부에 대한 호소이기도 했다.네어 교수에게 마지막으로 “성적이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발견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더 좋은 망원경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측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변화를 통해 표면 구조도 알아낼 것 이다. 외계 위성은 태양계 밖 생명체 탐색에 점점 더 중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