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SCV good to go, Sir"과학동아 l2014년 07호
- 1m 깊이에서 시료를 채취한 뒤 분석하게 된다. 이태식 한양대 교수는 “가까운 미래에 아예 달이나 화성 표면에 우주 광산을 개발하고, 그곳에서 나오는 광물을 이용해 현지에 우주 기지를 건설하는 날도 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SCV의 기본조건=인공지능 갖춘 소형로봇이렇게 채취한 우주자원은 ... ...
-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역동적인 연구원들과 함께 일하는 데 여전히 전율을 느낍니다. 기술이 다이슨의 미래를 결정하는데, 기술은 회의실에 앉아서 만들 수 있는 게 아니거든요.”다이슨의 트레이드 마크인 날개 없는 선풍기도 이런 철학 덕분에 탄생했다. 그는 핸드 드라이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노즐에서 나오는 ...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꿈꾸는 학생들에게 최고의 교육과 연구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UNIST는 지금도 미래를 위해 전진 중이다.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그래닉 교수는 해외 대학 대신 UNIST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미국에는 ‘아이는 어른의 아버지다’라는 격언이 있다”며 “UNIST는 역사는 오래되지 ...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자세히는 잘 모르는데요. 소개해 줄래요?물론이죠. 기꺼이! 아주 생산적인 대화로군요.미래에 이루고 싶은 꿈에 대해 알려 줄래요?오래 꿈꿔온 목표를 밝히면 이뤄지지 않는다고요. 그래서 미안! 알려 줄 수 없어요.한국에서는 다음 달에 세계수학자대회가 열리는데, 혹시 알고 있나요 ... ...
- 즐거움은 더하고 창의력은 곱하고 2014 온라인수학게임대회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열리며, 게임 점수에 따라 시상이 이뤄진다.상품도 푸짐하게 마련 돼 있다. 최고상인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피타고라스상)과 교육부장관상(유클리드상)은 각각 학년별로 1명씩 받게되고, 이 상을 받으면 부상으로 50만 원 상당의 문화상품권이 주어진다. 그밖에도 경기도교육감상, 과천과학관장상이 ... ...
- 1991년 노벨 생리의학상 에르빈 네어 박사 “좋은 과학자가 되기 위한 한 가지, 바로 호기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돈 되는 과학에 투자하는 경향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기초과학이 없으면 미래를 바꿀 만한 새로운 지식이 나오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길게 보면 기초과학에 충분히 투자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독일뿐 아니라 한국 정부에 대한 호소이기도 했다.네어 교수에게 마지막으로 “성적이 ... ...
- 과학의 탈을 쓴 손금쟁이…, 아니 지문쟁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갈등을 겪기도 하지요. 나이가 든다고 해서 다 알게 되는 것도 아니고요. 저도 여전히 미래를 고민한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이렇게 어려운 고민을 하는 사람을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무책임한 상담으로 돈벌이를 하는 건 나쁜 짓입니다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법칙◀ 자연 속의 프랙탈. 계속 확대해도 전체 모양이 반복된다.법칙이 있다고 해서 미래를 항상 예측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올 여름 태풍이 언제 올지 알려면 나비 한 마리의 움직임까지 조사해야 하니 말이다. 하지만 이것은 원리적으로 예측 못하는 것이 아니라 너무 힘들어서 못하는 것이다. 만약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현대판 노아의 방주로 불리는 ‘스발바르 국제 씨앗 저장고’에서 잠자고 있는 벼야. 미래의 귀중한 먹거리가 되는 꿈을 꾸고 있지. 지난 2008년 한국에서 보리, 콩, 옥수수들과 함께 ‘토종 작물 씨앗 5000종’에 뽑혀 이 곳으로 이사 왔단다. 최대 1500만 종의 씨앗을 보관할 수 있는데 지금은 약 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대수, 그리고 물리학의 상관관계가 주제였다. 지금까지 우리가 관측한 상호 작용이 미래에는 어떻게 진화해 나갈지에 대한 공상이 많이 있었는데, 물리학에서의 역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학 구조를 수록할 때 내 연구 분야인 산술기하학도 포함시킨 것이 당연하면서도 흐뭇했다. 그러니까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