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스페셜
"
에너지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주체들이 벤처 비즈니스에 쏟는 열정은 다른 나라에 비해 높습니다. 하지만 그런 수준의
에너지
를 키워줄 수 있는 환경이 척박해요. 정부는 기초과학 연구에 매진하며 성과를 낸 연구원들이 사업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줘야 합니다. 연구능력 뿐 아니라 사업적인 안목도 갖춘 창의적이고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것을 넘어 나노입자를 자유롭게 배열하고 쌓는 연구. 현재 그가 이끄는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글로벌프론티어연구단’은 이런 나노기술을 이용해 기존 태양전지와 연료전지의 설계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그는 “나노기술은 이제 실험실에서는 기존의 마이크로 정밀도를 ... ...
원자력硏, 전자빔 이용 나노입자 제조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부산물을 만드는 환원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일 뿐 아니라 상온에서 제조가 가능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소형 조사 장치만으로 설비가 가능해 투자비와 설비공간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특히 이 박사팀이 개발한 제조 공정 장치는 연속 흐름식의 짧은 공정을 도입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아직 모르지만, 광합성을 모방한 인공광합성 연구에 양자 결맞음을 도입한다면
에너지
변환 효율이 극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은 아직까지 그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생체의 광합성계가 너무 복잡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과학저널 ‘사이언스’ 4월 18일자 온라인판에 마침내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상호작용하는 무거운 입자(WIMP)’로 이뤄져 있는데, 두 입자가 부딪쳐 소멸하면서 고
에너지
의 전자-양전자 쌍을 내놓을 수 있다는 것. 여기서 나온 양전자 가운데 우주여행에서 살아남은 것이 AMS에서 검출됐다는 말이다. 물론 이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서는 확인할 수 없지만 프로젝트를 주도한 1976년 ... ...
맛이 좋은 커피, 몸에 좋은 커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특히 이탈리아 사람들은 매일 아침 진한 풍미의 에스프레소 한 잔을 마시며 하루의
에너지
를 얻는단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한 커피인 아메리카노와 카푸치노, 카페라테 등을 즐긴다. 필자도 경험삼아 에스프레소를 몇 번 시도해봤을 뿐 주로 마시는 것은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새물리학저널’ 3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이 사용한 전자총이 내보내는 전자의
에너지
는 600eV(전자볼트)로 드브로이의 물질파 공식을 적용하면 파장이 50피코미터(피코는 1조분의 1)에 해당한다. 따라서 슬릿의 폭이 아주 좁아야 파동성을 볼 수 있다. 연구자들은 집속이온빔밀링이라는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덩어리인 고구마 500g을 먹는 경우와 이와 같은 칼로리의 설탕을 먹는 경우 섭취한
에너지
는 같지만 결과는 전혀 다른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이다. 토브스는 “오늘날 비만의 만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연구자들이 비만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실패했고 식품회사들이 이를 이용했기 때문”이라고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물질이 만나면 질량이 전부
에너지
로 변환되므로 반물질 0.5g만 있으면 히로시마 원폭의
에너지
를 낼 수 있다. 따라서 100g짜리 반물질 유성체가 지구 대기에 부딪치면서 소멸하며 폭발해도 퉁구스카 삼림 일대를 초토화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저자는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반물질’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논문에서 E=mc²을 막스 플랑크의 발견이라고 언급하자 아인슈타인은 즉각 “관성질량과
에너지
의 관계에 대한 나의 우선권을 당신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좀 이상하군요”라고 항의했다. 스타르크는 플랑크의 논문을 다시 읽어본 뒤 이 논문이 아인슈타인의 논문을 인용하고 있다는 걸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