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람도 스키를 처음 배울 땐 넘어지기 일쑤예요. 미끄러운 눈 위에서 중심을 잡는 일이 쉬운 게 아니지요. 그런데 어떻게 로봇이 스키를 탈 수 있는 걸까요? 최초의 휴머노이드는 일본 와세다대학교 가토 이치로 교수팀이 1973년에 만든 ‘와봇 1호’예요, 두 발로 걸을 수는 있었지만 몇 걸음이 ...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것만으로도 연기를 막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2015년 2월 서울 청담종합사회복지관에 적용했다. 출입구 2개에 피난 루트 3~4개 확보해야 다중이용시설의 또 하나의 특징은 구조가 복잡하고, 짧은 시간(주로 낮시간) 동안 많은 사람이 출입한다는 점이다. 비상 상황에서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에피소드가 그려진다. 사람의 크기가 줄어든다는 설정이 과학적으로 가능할까. 유재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사람이 개미만한 크기로 줄어든다면 쓸데없이 강한 힘을 갖게 되는 동시에 피부를 통한 열에너지 손실이 커져 저체온증에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선 길이, 면적, 부피의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재산피해를 많이 발생시켰다. 한반도가 그만큼 폭우에 취약하다는 뜻이다. 허창회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은 환경부가 추진하는 ‘기후변화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1979~2010년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의 진로 유형별 영향을 통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상상의 비행체라도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그리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날 수 있습니다.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고 있는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의 ‘하늘을 나는 기계들’은 미야자키가 상상한 비행체를 입체조형물로 만들어 전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박람회는 1985년 설립된 지브리가 3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알려 주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장내미생물 정보 담은 나노 소포체기자는 2017년 11월 말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MD헬스케어 연구소에서 장내미생물 검사를 받았다. 방법은 유전자 분석보다 훨씬 까다로웠다. 우선 마음대로 배출시키기가 극도로 어려운 대변을 ‘모아 와야’ 한다. 대변 검사는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해하기 쉽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오 씨는 연구가 좋아서 KAIST에 진학했다. 서울대와 KAIST 중 어느 대학으로 진학할지 한차례 고민했지만, 학부생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춘 KAIST에 끌렸다. “KAIST는 1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지 않아요. 고등학교 때 공부만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오른쪽 그래픽)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AI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 기반 강화학습 기법을 적용해, 가상의 비행생명체가 장애물을 피해 스스로 날아다닐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장 좋습니다. 김선아_viaabc@daum.net충남대에서 수의학을 전공하고 수의사가 된 뒤, 서울대에서 동물행동의학 및 야생동물의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국내 최초로 동물의 정신과 진료를 전문으로하는 비아동물행동클리닉을 운영했고, 해마루케어센터 센터장으로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초의 오차율)보다 더 정확하다. 일본도 하는데 우리라고 못할쏘냐. 2017년 4월 개장한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왼쪽) 123층 전망대는 지상에서 500m 높이다. 높이로는 세계에서 세 번째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은 미국과 일본에 이어 2014년, 세계 세 번째로 광격자 시계를 개발하는 데 성공한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