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름을 되찾은 ‘브론토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정복을 좀 도와 주지 않을래?만화에서
본
그 귀여운 ‘브론토사우루스’ 맞지? 날 실제로
본
다면 귀엽다곤 말하지 못할 거예요. 35m 정도 몸 길이에, 몸무게는 무려 32t이나 되거든요. 절대 귀여운 덩치가 아니죠. 사람들은 제가 무겁기 때문에 걸어 다닐 때 천둥 번개가 칠 때처럼 ‘우르르 쿵!’ 하는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축구공이라 하면 자연스럽게 검정색 정오각형과 흰색 정육각형이 교차하며 만나는 깎은 정이십면체를 떠올린다. 그런데 이 축구공과 모양이 같아 ‘실험실의 축구공’이라 불 ... 집중시켰다. 떼려야 뗄 수 없는 과학과 수학, 앞으로도 세상을 바꿀 발견이 계속 이어지길 기대해
본
다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디지털 중독에서도 소망계수와 감수성계수 사이에서 심리적인 동요가 일어난다고
본
것이다.배 교수는 이 모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 중독이 되기 전과 후의 심리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중독 전에는 주기적인 패턴을 보이지만, 중독된 뒤에는 일정한 규칙 없이 혼란스러웠다. 특히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대표적으로 얼굴과 목소리가 쓰일 수 있다. 김건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이버보안연구
본
부 휴먼인식기술연구실장은 “생체인증은 보안이 확실할 경우에만 편리한 기술”이라며 “생체정보의 보안은 수학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나는 여성 엔지니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글을 올렸다. 심지어 웽거가 그 회사의 직원이 아니라는 의혹도 제기했다.이를
본
웽거는 8월 4일 자신의 트위터에 ‘#저는 엔지니어처럼 생겼어요(#ILookLike AnEngineer)’라는 해시태그를 손으로 써서 사진으로 올렸다. 웽거는 “다양한 여성 엔지니어가 존재하고 이들이 무엇을 개발하는지 ... ...
[손바닥 인터뷰] 김형수 작가, 몽골의 슈바이처, 독립운동가 이태준을 좇는 소설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함께 울란바토르가 내려다 보이는 전망대에 갔다. 그곳에서 이태준 기념공원을
본
것이 출발점이었다. 처음에는 동명의 소설가 이태준을 말하는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의사 이태준을 기념하는 공원이었다.Q 몽골에서 이태준 선생이 유명한가A 엄청 유명하다. 한 예로 또다른 독립운동가인 여운형이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있는 파인애플 껍질파인애플을 통째로 원형 기계에 넣고 꾹 눌러 껍질을 벗기는 장면을
본
적 있나요? 껍질과 중앙의 심이 순식간에 없어지고 두루마리 휴지 형태의 파인애플 속만 남지요. 캔에 담긴 파인애플처럼 즉석에서 먹을 수 있어요. 그런데 어쩐지 파인애플의 살을 너무 많이 깎아낸 것 같아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일어나는 병. 뇌 수술하면서 만들어진 뇌지도살아 있는 사람의 뇌를 직접 열어서
본
사례도 있어요. 1930년대 캐나다의 신경외과 의사였던 와일더 펜필드는 뇌전증 환자를 치료하고 있었어요. 발작을 일으키는 뇌의 특정 부분을 찾아 없애기 위해, 펜필드는 환자의 두개골을 열고 전극으로 뇌의 ... ...
개미 10마리 중 4마리는 ‘베짱이’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만들어 집단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번에 실험한 종은 그런 특성도 없었다. 샤르
본
박사는 게으른 개미가 남들보다 더 늙어 기력이 떨어진 개미라고 예상했다. 반면 독일 레겐스부르크대 토머 크자츠케 박사는 뉴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게으른 개미들이 몸집이 더 큰 것을 보면 전쟁에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발생해 어디로 이동하는지 제대로 알려진 게 없다. 오염물질은 태평양을 건너 미국
본
토까지 날아가는데, 정작 최대 배출원으로 추정되는 중국에선 대기질 정보를 꽁꽁 숨겨두고 보여주지 않는다. 민 교수는 “내년엔 항공기나 선박에 아놀드를 실어 황해에서 오염물질을 측정할 계획”이라며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