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때처럼 풍경이 길고 넓게 펼쳐져 보인다.소나 양이 풀을 뜯는 모습을 가만히 관찰해본 적이 있는가? 놀랍게도 초식동물은 머리를 숙이거나 들거나, 고개를 갸우뚱 기울이고 있을 때도 항상 네모 눈동자를 땅과 수평하게 유지한다. 그래서 머리를 땅으로 수그리고 풀을 뜯어먹는 동안에도 항상 눈으로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유전자 발현을 바꾸거나, 변이된 유전자를 선택해 마치 휴전을 택하는 것처럼 보인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증식속도를 늦추는 대신 숙주의 몸속에 장기간 증식할 수 있고, 숙주는 최소한의 바이러스를 허용하는 대신 세포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관용 또는 협상이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우리 ...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그런데 이런 일이 개와 사람 사이에서도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답니다.일본 아자부대 키쿠수이 타케푸미 교수팀은 개 30마리를 연구실로 초대해 주인과 30분 동안 놀게 했어요. 그리고 사람과 개의 소변을 각각 분석했죠. 그 결과 옥시토신이 주인에게서는 300%, 개에게서는 130% 늘어난 ...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매듭을 끊지 않고서는 거울에 비친 상으로 바꿀 수 없다.1984년 뉴질랜드의 수학자 본 존스는 거울에 비친 매듭을 원래 매듭과 구분할 수 있는 다항식을 찾아냈다. 거울 속 매듭은 원래 매듭을 이루는 가닥의 위아래를 뒤바꾼 모양이다. 존스의 다항식에서 변수를 그 변수의 역수(곱해서 1이 되는 수.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전쟁 당시 연합군이 이곳을 막으면서 일본군이 패했다. 그때 바닷속으로 침몰된 일본 함선에 산호가 자라면서 색다른 정취를 만들어냈다. 현재 축은 세계 3대 다이빙 포인트로 꼽힌다.체험단은 축에 도착한 다음날부터 바다에서 매일 스노클링을 하며 아픈 역사를 간직한, 그러나 더없이 아름다운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비하면 차이가 크지 않다’고 말하지만, 그가 타자가 유리한 구장에서 뛰며 이득을 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왜 이런 일이 일어난걸까. 정답은 ‘높은 고도’다. 쿠어스 필드가 있는 덴버는 해발고도가 1600m다. 설악산 대청봉(1708m)과 비슷한 고도다. 이런 높은 고도 때문에 공기 밀도가 낮아지고, 공기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신기한 곤충을 널리 알리는 최고의 대한민국 곤충학자들이 많이 등장하길 기대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 ...
- 카레이서 ‘ 차타니 막달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우승자에겐 멋진 스포츠카를 선물로 드립니다!’우연히 길거리에 떨어진 전단지를 받아본 썰렁홈즈. 탐정 사무소 실적이 부진해서 자동차를 살 수 없었던 썰렁홈즈는 우승자 선물이 자동차라는 말에 무조건 참가하기로 한다.대회날 아침, 자동차 경주가 열리는 곳엔 벌써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들이 ...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학원에서 ‘크기가 다른 두 톱니바퀴가 다시 맞물릴 때가 언제인지’ 묻는 문제를 풀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곳에서는 직접 톱니바퀴를 돌리고, 퍼즐 조각을 맞추면서 ‘손으로’ 답을 찾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수학을 보고, 만지고, 느끼는 체험관‘우두두두…’ 쟁반에 구슬이 쏟아지는 소리가 ...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띠 위 를 걷고 있다.뫼비우스의 띠가 풀리는 순간을 잡아라뫼비우스의 띠를 만들어 본 사람은 많지만, 띠가 풀리는 순간을 관찰한 사람은 드물다. 종이가 아니라 변형 가능한 물질로 만든 뫼비우스의 띠는 바깥쪽 면과 안쪽 면이 따로 있는 보통의 띠로 풀리기도 한다.2010년 10월, 영국 케임브리지대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