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정합니다. 냉동 기간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건 세포 단위에선 이미 논문으로 증명된 사실입니다. 한 예로 데이비드 스트론섹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연구원팀의 실험을 들 수 있는데요. 액체 질소에 1일부터 5년 6개월까지 냉동 기간이 다른 백혈구 311개를 비교한 결과, 해동했을 때 정상 ...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쏟아졌다. 연구원들이 계약서를 들고 국회에 찾아가 오해가 생긴 부분을 일일이 해명했지만, 괴담처럼 퍼진 소문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았다. 몸도 마음도 힘든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버티며 러시아와의 협력을 추진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과 러시아에서 함께 애쓴 동료들 ... ...
-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유용자원활용과 환경연구관) Q 전통지식을 모으는 과정이 궁금해요. 보통 3~4명이 함께 시골 마을에 찾아갑니다. 어르신들을 만나서 얘기를 나누며 어르신들이 갖고 계신 전통지식을 여쭤보죠. 이 작업이 쉽지는 않아요. 어르신들이 사용 하는 생물의 이름과 우리가 흔히 부르는 생물의 이름이 서로 ... ...
- [JOB터뷰] 단서를 찾는 사람에서 만드는 사람으로 방탈출 게임 제작자 김광수 팀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제안하셨죠. 방탈출을 많이 해 봤으니 테마도 잘 만들 거라고 생각하신 거예요. 친구 3명이 뭉쳐 테마를 구상한 것이 실제로 만들어졌고, 이 경험 덕분에 방탈출 게임을 만드는 회사에 취직하게 됐죠. Q 방탈출 게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테마의 스토리를 짜는 게 시작이에요. 팀원이 모여 ... ...
- 韓 토종 박사의 美 퀄컴 입사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국제 학회와 저널들에 발표되면서 퀄컴이 관심을 갖고 연락을 해온 것이다.전화로 두 명의 면접관과 두 시간 정도 인터뷰를 했는데, 면접관들은 회로에 관한 기본적인 질문부터 시작해 직관적으로 회로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연구들을 진행했는지 등 다양한 질문을 ... ...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원소로 활약하고 있다. 또 앞으로는 인공지능(AI) 기술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꼽히는 만큼 이를 처리하기 위한 IT 기술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이고, 이에 따라 규소의 역할도 커질 것이다. 규소가 인류의 발전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세상을 ‘바꿀’ 원소라는 데 ... ...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일부 요소를 바꾸는 것은 인공지능(AI)이 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 색깔을 다른 색으로 염색해줘’와 같은 명령은 AI가 쉽게 수행하죠. 하지만 ... 연간 50여 명의 정원 전원을 박사과정 또는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선발한다. 첫 학기인 이번 학기에는 총 28명을 선발했다 ... ...
- [프로듀스X101] 투표 조작 의혹 한방에 정리하는 수학 정리수학동아 l2019년 10호
- 프로듀스 X 101의 득표수 논란에서 하나의 수학 정리가 탄생한 것입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0보다 큰 실수의 정수부분을 f라고 하면 7494.442에서 f는 7494입니다. 이 정리에 따르면 7494.442에 임의의 자연수 n을 곱한 수를 소숫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해서 얻은 정수는 모두 f인 7494와 f+1인 7495에 음이 ...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가려움 증상을 정량화해 발목과 등이 가장 가려우며 긁었을 때 쾌감도 크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심리학상은 웃으면 실제로 행복해진다는 사실을 밝혀낸 독일 연구팀이 수상했다.시상식은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됐다. 수상자들은 익살스러운 트로피(아래 사진)와 함께 부상으로 10조 짐바브웨 달러를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독무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막대한 재정적 지원을 받아 거대 천문관측 시설과 저명한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을 앞세운 선진국의 천문학은 따라잡기가 어렵다. 제2차 세계대전부터 레이더 기술을 선도한 독일은 전파관측시스템에 대한 자부심도 크다. 그런 독일과 이제는 어깨를 나란히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