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3만 년 전 바이러스, “기상~!”과학동아 l2015년 10호
- PNAS)’ 9월 8일자에 발표했다.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는 크기가 0.6μm(1μm는 100만 분의 1m)로 바이러스치고는 매우 큰 편이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바이러스의 이름을 ‘시베리아에서 온 부드러운 바이러스’라는 뜻에서 ‘몰리바이러스 시베리쿰(Mollivirus sibericum, 사진)’이라고 지었다.인류가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2009년에는 그것이 와르르 무너졌다. 결국 X존은 이듬해인 2010년 시즌이 끝나고 사라졌다.내년에는 넥센과 삼성이 새로운 구장으로 옮길 예정이다. 그 구장에서는 또 어떤 스토리가 만들어질까. 새로운 구장에서 만들어질 새로운 이야기에 야구팬들은 벌써부터 가슴이 설레고 ...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양파, 부추, 파, 생강 등이 듬뿍 들어간다. 마늘은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세계 10대 건강식품으로 선정했을 정도다.그런데 파는 김치는 어떨까. 김치연구소 장지윤 연구원은 “영양학적으로 그렇게 차이는 없다”고 밝혔다. 파는 김치의 장점도 있다. 김치의 단점으로 꼽히는 염분, 즉 소금을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같다.P(t)=(1-t)M+tN, 0≤t≤1두 내분점 M과 N을 잇는 선분을 t:(1-t)로 나눈 점이 P(t)이며, t가 0에서 1까지 움직이면서 포물선이 그려진다.이 식에서 이용되는 세 개의 점을 ‘조절점’이라고 한다. 양 끝점(A,C)은 고정돼 있지만 중간에 있는 점(B)은 방향만 알려주고 선 위를 지나지는 않는다. 선을 계속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8만km, 화성까지는 7800만km니까, LRO의 통신기술을 그대로 적용한다고 했을 때 중계위성이 200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건 단순계산이고, 실제론 운용 방식을 최적화해 그보다 훨씬 더 줄일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레이저 광학통신 기술을 사용하면 통신속도를 현재보다 5배 이상 높일 수 ...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운동한 셈이다. 2달 뒤 기적이 일어났다. 아직 불확실성이 있다. 그러나…몸무게가 단 100g도 줄지 않은 것은 기적이었다.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가 1인치씩 줄긴 했지만 운동량과 조절한 열량에 비하면 기대에 한참 못 미쳤다.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이 2014년 11월 ‘플로스원’에 발표한 연구 등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정도다. 만약 수심이 약 30m인 지점에서 음파를 쏜다면 배가 있는 지점에서 좌우로 45m, 즉 90m 너비에 해당하는 지역의 수심을 동시에 알 수 있다.측량선이 이동하는 항로는 멀티빔이 측량한 영역이 약 30% 겹치도록 계획한다. 측량오차가 큰 바깥 부분에서 더욱 정확한 수심 값을 골라내기 위해서다.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미세한 붓칠까지 따라할 수는 없을 테니까!레이크록 미술관에 걸려 있던 ‘해바라기’ 10점을 스캔했어. 그리고 프린스턴대 연구팀이 한 것처럼 확대·분석해보았지! 그랬더니 딱 한 점에서만 고흐의 습관이 나타나 있었단다. 드디어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았어. 얏호!비트★ 컴퓨터에서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방향 칸에 270을 입력해 보면 캐릭터가 아래로 떨어지는 걸 볼 수 있어요. 0, 90, 180, 270은 각각 오른쪽, 위쪽, 왼쪽, 아래쪽을 가리키는 각도 값이기 때문이에요.학생들은 블록 캐릭터가 화면 아래쪽에서 왔다 갔다 하고, 화면을 클릭한 곳에서는 또 다른 블록 캐릭터들이 밑으로 쏟아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뒤쪽 왼발이 짝을 이뤄 번갈아 땅을 딛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걷는다. 시속 약 1km부터 약 20km까지는 점점 빠르게 걷다가, 시속 약 22km부터는 앞발과 뒷발로 폴짝폴짝 달릴 수도 있다. 레이저로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가 달려 있어서 장애물을 만나면 최적의 거리를 계산해 속도를 줄이거나 높이면서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