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멤리스터가 우리 뇌와 좀 더 유사하기 때문에 이를 뉴로모픽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30여 년 전부터 있었다. 그러나 신뢰성이 보장된 멤리스터 뉴로모픽은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시제품에 가까운 뉴로모픽은 대부분 SRAM이나 DRAM을 이용한다. 지난해 IBM이 발표한 뉴로모픽 프로세서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것”이라고 했다. 도입 초기부터 큰 역할을 기대하지 말고 길게 보자는 말이다. 미국은 1960년대 후반부터 옴부즈퍼슨 제도를 도입해 현재 대학과 연구기관의 핵심부서로 자리 잡았다.옴부즈퍼슨이란 이름을 쓰진 않지만, 서울대 인권센터도 올해 7월 중재자 제도를 대학에 권고했다. 단과대학별로 ...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일으키며 하나의 빛으로 확산된다고 가정했습니다. 20억 개의 반사광을 계산하는 대신, 20만 개의 확산광을 계산하는 거죠. 계산 시간은 수만 배이상 단축되고, 다행히 우리 눈은 이것을 전혀 구분하지 못합니다. 아직은 1차 버전인데, 차차 눈 알갱이를 뭉친 눈사람, 수증기 입자가 모인 구름,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점점 낮춰 초전도 상태로 만들었는데, 놀랍게도 초전도체가 되자 내부의 자기장마저 0이 돼 버렸다. 초전도체 표면을 따라 빙글빙글 도는 초전도 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외부의 자기장을 완벽히 상쇄하기 때문이었다. 이 현상을 ‘마이스너 효과’라고 부른다. 자기장이 사라지는 마법 덕분에,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뜻이다. 이렇게 혼자 힘으로 살아내지 못하는 사람을 도와 주는 모습은, 심지어 연대가 18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조지아의 드마니시 화석에서도 발견된다. 늙은데다 치아가 모두 빠져 제대로 씹을 수 없었음이 분명한 드마니시 3444호 화석의 주인공은 (아마도 누군가의 도움을 받으며) 오래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나타난다. 앞의 만화는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를 복소수로 확장한 것이다. 심지어 30km를 훨씬 더 긴 거리로 바꾸더라도 결국 세 명의 수학자가 탈출할 방법이 반드시 있다.사실 타오 교수의 이번 논문은 여러 검증 절차를 거쳐 유명한 저널에 실린 것이 아니다. 단지 인터넷에 논문을 공개한 것뿐인데,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끈 채 바람을 타고 빠른 속도로 달리다가 출발선을 지난다.드디어 RC선에 경기 시작 10분 전을 알리는 깃발이 꽂혔다. 스키퍼는 요트로 돌아야 하는 부표의 위치를 확인했고, 전술가는 바람이 강해질 거라 예측되는 장소로 뱃머리를 돌렸다. 마침내 경주가 시작됐다. 모터를 끈 요트가 얼마나 빠를까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원에서 2015년 1455억 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내연기관 과제에 지원되는 돈은 167억 원에서 50억 원으로 4년새 70%나 줄었다. 전체 예산의 69%인 1006억 원이 자동차 부품 품질인증센터 구축 등 지역자동차 사업에 들어간 것에 비교하면 턱없이 적은 액수다.민 교수는 “클린 디젤의 조건을 만족시키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큰 지진이 일어났을 경우를 미리 준비하고 있어요. 2020년까지 지진이 발생한 뒤 10초 이내에 경보를 발령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계획을 세우고 지진 자료를 조사하고 있답니다.지진은 한 번 일어나면 피해가 큰 자연재해예요. 지진 피해를 입은 네팔은 지금도 사고를 수습하지 못하고 슬퍼하고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인스부르크대 광물암석학과의 랄프 태퍼트 교수는 지난 2013년 호박 광물에서 약 2억 2000만 년 전 식물화석을 찾았다. 이때는 지구 대륙이 하나의 큰 덩어리인 ‘판게아’로 돼 있었고, 공룡이 나타나기 시작한 중생대 초기(트라이아스기)였다.태퍼트 교수는 이 화석에 남아 있는 탄소 동위원소인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