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확"(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슈퍼컴으로 지구의 속살을 보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볼 수 없었던 지구 표면과 지구 중심 사이에 있는 맨틀(깊이 30~3000km)의 구조를 보여 주는 정확한 3차원 지도를 그렸습니다.연구팀은 지진파 진동을 이용해 지구의 껍질인 지각과 지구 외핵 사이의 구조를 3차원으로 나타냈습니다. 지진파를 표시한 왼쪽 지도에서 빨간색과 노란색은 느린 지진파를,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한다. BIM을 활용하면, 부재 하나 하나의 이력을 거꾸로 추적할 수 있어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하늘로 솟는 한옥한옥도 나지막하고 운치 있는 집에만 그치지 않는다. 한옥을 정교하게 설계할 수 있는 도구가 발달하면서 이제는 다양한 모습의 한옥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최근 개발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날의 지진 예측은 이와 같다. 예보라고 부르기엔 미 흡한 수준이다. 지진 발생 위치가 정확하고 확률이 100%에 가깝다고 해도 지역 주민들에게 30년 동안 살던 도시를 떠나있으라고 말할 순 없다.물론 예외도 있다. 중국이 1975년 하이청 지역에 서 발생한 규모 7.3의 지진 예측에 성공한 것은 지진 관측 ...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서아프리카에 에볼라가 빠르게 번지기 시작하던 작년 9월, 미국국립보건원 병원균모델연구팀(NIH MIDAS)은 심각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놨다. 현 수준으 ... 수학적으로 보다 정교한 알고 리듬으로 만들어 소프트웨어에 반영할수록, 전염병의 피해를 정확하게 예측해 방역대책을 세울 수 있다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이상윤 부경대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목표 뉴런에 정확히 도달하기 위해선 결국 자체구동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교수는 ‘유체가압추진방식’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해 2011년 특허를 출원했다. 그의 로봇은 문어처럼 유체를 뒤로 내뿜어 앞으로 나아간다. ...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지금까지 실험으로 증명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붕괴 반응을 6시그마(99.9999998%)의 정확도로 확인했다. 이는 2013년 힉스의 존재를 확인한 5시그마보다 더 명료한 결과다. 특히 B중간자가 붕괴해 만들어진 2개의 뮤온 입자를 검출하는 데는 한국 연구팀이 개발에 참여한 뮤온 검출기가 결정적인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말했다. 가상현실이 없던 과거를 생각해보자. 상황에 즉시 반응하는 게 중요하지, 정확성은 그리 중요하지 않았다. 가상현실을 현실로 느끼려고 특별히 노력하지 않아도 우리는 자연스럽게 실재감을 느낀다.미국 스탠포드대 커뮤니케이션학과의 바이런 리브스 교수와 크리포드 내스 교수가 1996년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훨씬 많은 일본은 지진이 발생한 뒤 5초 만에 경보가 가능하다. 지진을 처음 감지할 때나, 정확한 진앙 위치를 찾을 때 관측소가 많을수록 유리하다.한편 우리나라에도 빅데이터를 분석해 재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돼 있다. 현재 전라북도와 부산시, 대전시에서 시범 운영하고 ... ...
- 초정밀 GPS로 드론 상용화 길 텄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GPS는 정확도가 m 단위로, 정밀한 위치 분석이 불가능했다. 고성능 안테나를 사용하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지만 비용이 고가라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기존 안테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안테나가 위치를 계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GPS 수신기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현재 ...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커튼’처럼 물질 뿜는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온천’을 뿜어내는 위성으로 잘 알려졌다. 최근 국제 공동연구진이 엔셀라두스의 정확한 분출 과정을 시간대별로 밝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은 카시니 우주 탐사선이 보내온 엔셀라두스의 사진 자료를 이용해 엔셀라두스의 분출 활동을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