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유도 호르몬을 주사하면 배란 시기를 임의로 정할 수 있지만, 개는 아직 그게 안 된다. 자연 배란된 개를 구해야만 한다는 얘기다.어려운 문제가 하나 더 있다. 대부분의 동물은 난자가 성숙한 뒤 배란되지만, 개의 난자는 미성숙 상태로 배란돼 난관을 따라 내려오는 3일 동안 성숙된다. 배란한 지 딱 ... ...
-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안 되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가시광선으로 정수처리를 하는 기술을 완성하면 낮에는 자연광으로도 정수처리를 할 수 있다”며 “나노기술을 잘 활용하면 수처리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한다는 증거가 속속 발견되고 있다.이 책은 항생제 남용과 무분별한 제왕절개(아기는 자연분만으로 태어날 때 엄마의 질에서 필수 미생물을 얻는다) 등 현대의 의료 환경에서 비롯된 미생물 불균형이 우리의 신진대사와 면역체계, 더 나아가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려준다. 더불어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직접 보지 않고도 다른 정보를 활용해 원하는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즉 전기물고기는 자연스럽게 역문제를 풀고 있다.전기물고기 외에 역문제를 해결하며 살아가는 동물에는 박쥐가 있다. 박쥐는 초음파를 활용해 주변이 깜깜한 어둠 속에서도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낸다. 덕분에 동굴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우봉고로 일차방정식을 요리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사고다.나. 시각적 사고의 단계다.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시각적 사고x, y가 자연수일 때,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을 푸는 과정을 퍼즐판으로 시각화해 사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x+by+c=0(a,b,c는 상수, a≠0, b≠0)을 일반화해 해를 구할 수 있다. 가. 6개의 모둠으로 조직하며, 효율적인 수업을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채집된 곤충들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22~30%가 돌연변이였다. 돌연변이가 자연적으로 발생할 확률이 1%인 것과 비교하면 얼마나 높은 비율인지 알 수 있다. 한 예로 스웨덴 기신지(Gysinge) 지역에서 발견된 쐐기노린재(Nabis rugosus )는 더듬이가 덜 자란 채 눈에 변형이 일어나 있었다. 머리의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명확하고 투명하게 보이는 순간이 온다. 핵융합 플라스마가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자연현상과 깊이 연결돼 있음이 드러나는 순간이 좋은 예일 것이다. 가까운 미래에는 이런 비밀들이 더 많이 밝혀져 핵융합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우리의 도전에 빛을 던져주길 희망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백골이 될 때까지 매일 사진을 찍는 일. 지난 몇 년 동안 내가 해 온 일이다. 처음에는 자연 상태로 땅 위에 놓여 부패해 가는 시신들을 보는 것만으로 마치 지옥에 와 있는 기분이 들곤 했다. 그렇잖아도 피를 보면 현기증이 나는 사람인데 매일같이 그런 모습을 접하는 게 얼마나 두려웠겠는가. ...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2015년 7월 14일. 이란 핵 협상이 타결됐다. 이란이 핵을 포기하는 조건으로 국제사회로 복귀하게 된 것이다. 국제사회도 이를 반겼다. 8000만 명에 이르는 인구와 풍부한 원유, 천연가스 등의 자원이 침체 된 국제 경제 회복에 단비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다.이란의 핵 포기는 광물 애호가들에게도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즉 극대화된 계산 능력이 빛을 발하기에 꼭 맞는 분야다. 그에 비해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어는 규칙이 단순하지 않고, 같은 표현이라도 전체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며, 온갖 비유와 역설적인 표현으로 가득 차 있어서 컴퓨터에게는 훨씬 어려운 분야다.그러나 2011년 ‘제퍼디(Jeopardy)’ 퀴즈쇼에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