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불과하다고 말하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만연한 문화적 편견이 인간의 서열을 여전히 자연적인 현상으로 돌린다는 것이다. 굴드는 말했다. “우리의 생물학적 통일성이 제공하는 유리한 기회를 틈타 성공을 거두기는커녕 실패를 되풀이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왜 협력을 시도하지 않는가. 왜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살아남아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전기를 만들지 못하는 나머지 미생물은 시스템 안에서 자연적으로 도태된다. 유비쿼터스 미생물 이용해 응용 늘린다장 교수는 “작고 가벼우면서 어디에서나 작동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미생물연료전지는 재난 상황에서 짧은 시간 동안 임시로 생명을 유지하거나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두 영역이 한 데 밀집해 있는 한반도는, 도시에서 배출된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 물질이 자연에서 배출된 화학 성분과 반응해 어떻게 초미세먼지나 오존을 만들어 내는지 밝힐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고 말했다.부산과 포항 앞바다를 날던 중이었다. “대기오염원이 전혀 없는 해상에서 갑자기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관심을 갖게 된 건 너무나도 당연했어요. 1990년대 중반 우연한 기회에 이언 스튜어트의 이라는 책을 읽었어요. 그런데 거기에 제 작품하고 구조적으로 똑같은 나선 그림이 있는 거예요. 전 한 번도 수학을 고려한 적이 없었고 수학을 잘 알지도 못했는데, 제 예술 세계가 수학과 ... ...
- 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찾아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움직인 거리다.바빌로니아 점토판에 나열된 수를 구분할 때는 ‘,’로 나타내는데, 자연수와 소수점 사이의 자리를 구분할 때만 ‘;’을 이용한다. 이런 방법으로 구한 목성의 전체 이동 거리는 16;15°이다. 10진법으로 바꾸면 120일간 목성은 16.25°만큼 이동했다. 연구를 이끈 독일 홈보트대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정칠각형의 내각의 합이 360°가 되도록 하는 데 2.8개가 필요합니다. 2.8보다 작은 최초의 자연수는 2입니다. 그러나 꼭짓점 주위를 정다각형 2개로 채우려면 두 정다각형의 한 내각이 각각 180°여야 합니다. 한 내각의 크기가 180°인 정다각형은 없으므로 테셀레이션이 가능한 정다각형의 변의 수는 3, 4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길이다.박사급연구자 고용을 늘리는 추가적인 방법이 있다. 조성민 독일 막스플랑크 고분자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대학서열 완화”를 꼽았다. “한국은 극단적인 대학서열화 때문에 연구비가 최상위 5개 대학에 과도하게 몰려있습니다. 여기서 만들 수 있는 박사급연구자 일자리는 한계가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서로 얽히고설켜 하나의 요소만 떼어내도 그물망 전체가 기능을 하지 못한다. 그러니 자연계에 존재하는 게놈에서 유전자를 하나씩 없애는 방식으로는 최소유전자를 확인할 수 없다. 반대로, 생명체의 설계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는 게 낫다. 이런 배경에서 나온 것이 합성생물학이다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만드는 데 있지는 않다. 다만 유전자 전체를 새롭게 설계하고 직접 제조함으로써 자연계에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는 합성생물학과 맥이 닿는다. 영화 제목인 스플라이스(splice)는 유전공학에서 ‘서로 다른 유전자를 이어 붙인다’는 뜻으로 쓰이는 용어다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가서 공부했다. 어려서부터 들판을 누비며 곤충을 채집했던 해밀턴은 다양한 동식물의 자연사에 놀랄 정도로 해박했다. 해밀턴은 사람들 사이에 있을 때보다 딱정벌레나 이끼, 거미와 함께 있을 때 더 편안함을 느끼는 현장 생물학자였다. “길거리에 홀로 울고 있는 어린이도 내 심장을 흔들지만,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