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포
후미
d라이브러리
"
작은 만
"(으)로 총 4,30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세지는 옷’은 특히 인기가 있어서, 아직까지도
만
화나 영화의 단골소재로 등장한다. 이
작은
(?) 꿈을 현실로
만
드는 방법은 없을까. 과학자들이 한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로봇을 몸에 입으면 된다.인간의 팔다리 힘을 키워주는 로봇 장치를 ‘입는 로봇(wearable robot)’ 또는 ‘외골격로봇(robot ... ...
Part 3. 과학이
만
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위해, 위에서 아래로 뻗는 회오리 기둥을
만
들었다. 2007년 독일 울름대의 안드레이 소머 박사팀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토네이도’를
만
들었다. ‘이글루’라고 이름 붙인 나노결정 지붕(지름 2mm) 아래에서 마이크로토네이도를 발생시켰다.이글루의 아래 공간에는 습기가 많고 위는 온도가 낮아 ... ...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
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길을 열었다.여 교수는 “이 주사기의 원리는 주사기 안에서 레이저로
작은
폭발을 일으켜 약물이 주사기 노즐을 통해 몸안에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 주사기 안에는 약물
만
들어 있지
만
이 주사기는 위쪽에 물이 있고, 아래쪽에는 약물이 있다. 물과 약물 사이에는 고무막이 있다.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동부 등이다. 봄에 이 지역은 남동쪽의 멕시코
만
에서 불어오는 습하고 따뜻한 공기와 북서쪽의 로키 산맥에서 불어오는 차고 건조한 공기가
만
나 대기가 매우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상승운동이 ... 토네이도는 이 슈퍼셀의 맨 아랫부분에서 매우
작은
규모로 발생하는 소용돌이 기류다. 토네이도는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파도는 바닷물의 표면이 출렁이는 현상이지
만
, 쓰나미는 물 전체가 움직여서 일어나는 ... 일본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지역에서 크고
작은
피해가 발생했어요. 하지
만
쓰나미를 제외한 지진 자체의 파괴력은 2월에 있었던 규모 6.3의 뉴질랜드 지진에 비해 작았어요. 아마도 그 이유는 1~2초의 주기로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수를 조절해 사진의 해상도를 바꿀 수 있다. 1600
만
화소 카메라로 가로세로 비율이 4 : 3인 사진을 ... 걸려들까? 볼 것도 없이 그물 한 칸의 크기가
작은
그물이다. 디지털카메라에서 800
만
화소, 1600
만
화소라고 하는 용어는 그물코의 촘촘한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화소 수가 커졌다는 것은 같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교통카드나 2012년에 도입될 전자주민등록증처럼
작은
크기에 많은 정보를 담아 편리하게 이용하는 전자정보시대다. 그러나 편리해진
만
큼 분실이나 해킹으로 개인정보가 노출될 위험도 커지고 있다. 수학은 암호기술로 정보를 보호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대형마트나 시장에서 어떤 상품을 살 때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9세기 말 영국의 하워드는 인구 25
만
명의
작은
도시 여러 개를
만
들어 도로와 ... 바다 속을 볼 수 있다는 것. 하지
만
작은
야구공에
만
맞아도 깨지는 유리가 과연 수압에 견딜 수 있을까?두바이 주메이라 해변의 20m 해저에 지어질 하이드로 폴리스 호텔은 그 답을 비행기에서 찾았 ...
인간과 로봇의 루빅스큐브 승자는?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대결을 하면 누가 이길까? 루빅스큐브는
작은
정육면체 여러 개를 큰 정육면체 하나로
만
든 퍼즐이다.
작은
정육면체를 돌려 큰 정육면체의 각 면을 같은 색깔로 맞추면 된다. 흔히 ‘큐브퍼즐’이라 부른다.최근 호주의 스윈번공대 학생들이 루빅스큐브를 맞추는 로봇 ‘루비(사진)’를
만
들었다.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보호하려는 생존 메커니즘이 있기 때문. 하지
만
신경이 예민한 사람은 나쁜 소식보다 불확실한 ... 실시했다. 그리고 참가자들에게 모니터에서
작은
십자가(+) 표시가 나오면 1초 뒤에 버튼을 누르도록 지시했다.
만
일 제대로 1초 뒤에 버튼을 누르면 ‘+’ 표시가 나오지
만
너무 일찍 누르거나 너무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