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 만"(으)로 총 4,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특징 가로세로 2㎜, 높이 1㎜로 개미만 한 크기. 무리를 지어 협동하는 행동 방식. 작은 GPS가 있어 서로 위치 정보를 ... 때로는 협동하며 열심히 살아가는 작은 생명을 만나게 된답니다. 곤충을 통해 생명의 신비와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키워 보세요~.“-최영철 (농촌진흥청 국림농업과학원 ... ...
-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수학동아 l2011년 08호
- 더 발전했지만 기록은 계속 0.01초까지만 측정해요. 다만 순위를 정확하게 가려야 할 때는 사진 판독을 ... 쓰기 때문에 0.0005초까지 가릴 수 있지요. 1cm의 작은 차이도 구분해 낼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무모한 도전 육상특집 : 더 빨리, 더 멀리, 더 높이PART 1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십 미터에 달하는 대형 조류도 있지만,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것도 있다. 이처럼 아주 작은 조류를 ... 움직이게 해줄 것이다. 작지만 대단한 힘을 가진 작은 거인, 물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있는 유비쿼터스 생물, 이들이 바로 미세조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직장을 넘보는 암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양이 아주 높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동물실험을 통해 발암성이 확인돼 있으니 주의가 ... 2~5ppm으로 가장 높은 농도에 노출된다. 종이를 만드는 노동자도 3ppm 정도 노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작은 것이 위험하다’작업장에서 가장 위험한 요인은 화학물질일까. 작업환경측정기관과 산업의학 ... ...
- 한국적 캐릭터로 세계의 신화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심혈을 기울인 것은 게임 캐릭터다. 캐릭터를 만들기 위해 당시 페이스북의 모든 소셜게임을 ... 인원으로 게임을 개발하다 보니 상세한 문서를 만들지 못하고 바로 코딩(프로그램 제작)에 ... 생기면 최종 결과물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작은 부분까지 수시로 의견을 교환하고 모든 사람이 게임 ...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데는 약 1달이 걸린다. 그런데 이 정도로 작은 붕괴열도 원자로의 내부 온도를 높이는 데 ... 교수는 “1달 뒤의 출력인 0.1MW도 작은 실험용 원자로를 최고 사양으로 가동했을 때와 ...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에너지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말했다.붕괴열도 연료봉을 포함한 원자로의 노심(core) ... ...
- PART1. 곤충을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108.9㏈로 울기③ 일생 동안 1억 900만 개의 알 낳기④ 영하 270℃에서 ... 거머리 등 이 조건을 갖추지 않은 작은 동물은 곤충에 속하지 않는다. ... 속하지 않고 절지동물에 속하는 작은 생물까지 모두 일컫는 말이다. 2. 정답 모두전세계 곤충은 약 130만 종에 이르며, 전체 동물의 약 70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위해, 위에서 아래로 뻗는 회오리 기둥을 만들었다. 2007년 독일 울름대의 안드레이 소머 박사팀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토네이도’를 만들었다. ‘이글루’라고 이름 붙인 나노결정 지붕(지름 2mm) 아래에서 마이크로토네이도를 발생시켰다.이글루의 아래 공간에는 습기가 많고 위는 온도가 낮아 ...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기술은 항우연이 개발하고, 실제 제작은 국내 기업이 담당한다. 2021년 ... 우주로 내 보내면 앞으로 한국에서 만든 중형 크기 이하의 인공위성은 ... 8년에 75t 로켓을 이용해 송수신 기능만 가진 작은 ‘더더미위성’을 실어 전남 고흥에서 시험 발사하고, 2021년에는 1,2,3단 로켓을 모두 이용해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세지는 옷’은 특히 인기가 있어서, 아직까지도 만화나 영화의 단골소재로 등장한다. 이 작은(?) 꿈을 현실로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 과학자들이 한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로봇을 몸에 입으면 된다.인간의 팔다리 힘을 키워주는 로봇 장치를 ‘입는 로봇(wearable robot)’ 또는 ‘외골격로봇(robot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