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연구자"(으)로 총 2,1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촛불시위 승리 원동력은? ‘분노’ vs ‘자부심’?2016.12.13
- 자부심을 느낄 때 더 많은 것을 투자하게 되듯 집단 행동에서도 비슷하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생각이다. ‘분노’ 역시 동력이 되지만 화의 문제는 정신적, 육체적 소모가 크다는 것이다. 화르륵 하고 몇 번 타오르는 것은 좋으나 지속적인 화는 정신 건강과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2016.12.05
- 뇌간에서 렘수면과 관련된 영역인 복외측수도관, 중간뇌핵 등에서 많이 발현한다. 연구자들은 변이 Nalcn 채널이 이온 전도도가 훨씬 더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결과 렘수면 조절 뉴런의 활성을 변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꿈은 물론이고 잠에 대해서도 여전히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지만 ... ...
- 서민이 보수정당에 투표하는 이유2016.11.30
- 추가로 한 두 개의 실험에서도 역시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연구자들은 사람들은 자신의 사회적 위치가 위협당한다고 느끼게 되면 (social identity threat), 즉 약자가 되면, 그 위협을 방어하고 자신의 지위를 회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적으로 잘 나가는 집단과 가치관에 편승하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알고 난 뒤 대부분 점수가 올라갔는데 유독 노루발풀향만 오히려 떨어졌다.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노루발풀이라는 정보를 알아도 낯선 이름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멀게 느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메이플향의 경우 유쾌함과 특히 식용성 항목에서 점수가 많이 올라갔는데 메이플시럽이라는 실체를 ... ...
- 사이코패스가 리더가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2016.11.22
- 상관 없이 나타났다. ●반사회적 특성이 있을때, 부정부패 많아 흥미로운 결과이지만 연구자들도 지적한 바, 이 연구에는 분명 많은 한계들이 있다. 대통령들의 성격 특성을 직접 측정할 수 없어서 회상을 통해 타인이 간접적으로 측정했다는 것, 학자들이 했다고는 하지만 그 판단의 객관성을 ... ...
- 백인 미국인은 한국인을 어떻게 볼까?2016.11.15
- 옳다”, “권위/전통은 존중되어야 한다”는 인식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의 관심은 미국 사회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무슬림 집단에 대한 비인간화였는데, 이들에 대한 비인간화 정도가 심할수록 이들에 대한 이민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던가, 이들을 대상으로 한 잔인한 ...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2016.11.14
- 사실을 확인했다. (이 학교 박사과정인 류흥진 씨가 논문의 제1저자이자 교신저자다.) 연구자들은 보노보의 털 고르기 장면을 촬영해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 털 고르기는 유인원의 삶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다른 개체의 털에 붙어 있는 비듬이나 벼룩을 집어내는 기능적 측면뿐 아니라 신체 ... ...
- 표범의 추억2016.11.08
- 높다는 건 그 유전자의 기능이 꼭 필요해 변이가 일어날 경우 바로 솎아진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고양잇과 7종, 사람과 5종, 소과 5종을 대상으로 보존도를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세 과 공통으로 보존도가 높은 유전자가 4342개로 나왔다. 주로 생명체의 기본적인 기능을 하는데 관여하는 ... ...
- ‘이해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별개!2016.11.05
- 동기가 낮은 경우에는 이해의 정확성이 반응성을 떨어트리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연구자들은 이에 대해 진심으로 신경 쓰고 있지 않고 별로 돕고 싶지 않은 사안에 대해 이미 잘 알고 있을수록 상대방의 말을 듣는 것이 더 짜증나고 되려 화가 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상대방을 돕고싶다고 ... ...
- 똑똑한 인간들이 왜 미신에 빠지는 걸까?2016.11.01
- 건 항해나 경기 침체, 전쟁 등 크고 작은 불안 상황에서 미신이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 연구자들은 미신이 사람들에게 어떤 ‘통제감’을 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날씨나 바다의 상태, 경기, 전쟁 모두 우리의 지식으로 예측할 수도, 또 통제할 수도 없는 것들이다. 통제하길 포기할 수도 있지만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