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인 민물고기 미호종개의 복원에도 적용했다. 연구팀은 2017년 극저온(영하 136도 이하) 상태에 보관 중이던 미호종개의 생식소를 해동한 뒤, 미꾸라지에 이식해 미호종개 개체를 증식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사는 “줄기세포를 살아있는 상태로 회수해 정제하는 것이 기술의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발표해 논란의 중심에 있다. 이들이 2013년 공식적으로 발표한 중성자의 평균수명은 887.7±1.2±1.9초다. 뒤에 따라오는 1.2초는 통계적인 오차이며, 1.9초는 실험의 불확실성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한다. 이 두 오차를 감안하더라도 병을 사용해 얻은 값과는 완전히 다른 값이다. 게다가 2013년에는 ...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발행하는 ‘천체물리학저널(Astrophysical Journal)’ 에 발표했다. doi: 10.1086/148306 같은 호에는 7cm 파장에서 절대온도가 3.5±1K인 빛이 발견됐다는 펜지아스와 윌슨의 관측 결과를 다룬 논문도 수록됐다. 이로써 이 빛이 파장에 무관하게 온도가 같은 흑체복사임이 증명됐다. 우주가 빅뱅 이후 급속히 ...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작은 철(Fe) 입자를 이용해 동물의 생체 장기를 손상 없이 빠르게 녹이는 연구 결과를 2017년에 발표했습니다. 비쇼프 교수팀은 작은 철 입자를 섞은 동결억제제를 이용해 장기를 냉동시켰습니다. 그리고 해동할 때에는 이 장기를 코일에 넣고, 에너지를 가해 강한 자기장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철 ... ...
- [수학뉴스] 정수보다 작은 수 체계에서 쌍둥이 소수 추측은 참?!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무한한 정수 체계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9월 7일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올라왔습니다. 이전까지 쌍둥이 소수 추측 증명에 가장 앞선 성과를 거뒀던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유한한 범위를 잘 ... ...
- 몬스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베이징연합의과학대학교 공동 연구진은 선천적 전신성 다모증에 걸린 사람들은 17번 염색체에 결함이 있다는 점을 밝혀냈어요. 선천적 전신성 다모증이 있는 가족과 이 증상이 없는 친척들의 게놈을 비교 분석한 결과지요. 늑대인간 이야기를 만들어 낸 데에는 ‘광견병’도 한몫 했어요. 1881년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70개 이상의 국가가 범죄자 DNA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활용하고 있다. 따지고 보면 2010년 7월 26일에서야 관련 법이 시행된 우리나라는 출발이 꽤 늦은 셈이다. 현재 우리나라 범죄자 DNA 데이터베이스에는 지난 10년 동안 발생한 23만여 명의 범죄자(정확히는 구속피의자와 수형인)의 DNA가 등록돼 있다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리튬이온전지가 인류의 삶에 미친 파급력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덕분에(?) 올해 97세인 구디너프 교수는 역대 최고령 노벨상 수상자가 됐다. 지난해 초정밀 레이저 활용 기술을 개발해 물리학상을 받은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전 연구원이 96세에 수상하면서 최고령 수상자였는데, 1년 만에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출발해서 발전했어요.초기 숫자 카드 9장에 적힌 숫자를 보면, 각각 수의 합이 ‘7’이 돼요. 세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순서쌍 (0, 1, 6), (0, 2, 5), (0, 3, 4), (1, 2, 4), (1, 3, 3), (2, 2, 3)을 이용해 숫자 카드를 만들었어요. 같은 숫자를 구분하기 위해 빨강, 노랑, 파랑 3가지 색으로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더 좋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국가 간 공동연구로 진행된다. 1967년 첫 VLBI 관측이 이뤄진 이후 ‘유럽 VLBI 전파망원경 네트워크(EVN·European VLBI Network)’, ‘아시아-태평양 망원경(APT·Asia Pacific Telescope) 네트워크’등 국제공동연구 네트워크가 꾸려졌고, 이들은 멀리 떨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