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회장이 설립한 버진 갤럭틱은 2020년 ‘스페이스십투’로 지상 110km까지 올라갔다가 지구로 귀환하는 여행상품을 준비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의 스페이스X도 2023년 달 궤도를 관광하고 돌아오는 ‘디어문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다. 머스크는 이미 2017년 8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자체 ... ...
- [과학용어] 지오펜싱 ·외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물질의 중심을 뜻하는 ‘핵(核)’이 합쳐진 단어예요. 내핵(內核)은 안쪽 핵을 뜻하죠. 지구 내부 구조는 지진파를 이용해 구분할 수 있어요. 물질의 상태에 따라 지진파의 속도가 달라지거든요. 외핵은 고체만 지나갈 수 있는 S파가 통과하지 못해 액체 상태인 것으로 추정해요. 한편 내핵에선 모든 ... ...
- [에디터노트] NASA와 여성, 그리고 노벨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긍정적이다. 사족 하나. NASA의 유튜브 생방송 중 오른쪽 실시간 채팅 창에는 ‘Earth is flat(지구는 편평하다)’이라는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었다. 과학동아가, 그리고 과학동아 독자들이 할 일이 여전히 많다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완벽한 골격이 복원됐다. 이는 가장 과학적인 고증을 거친 복원이기도 하다.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 공룡을 100% 정확하게 복원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우리는 단지 화석이라는 ‘조그만 창’으로 그들의 모습을 엿볼 뿐이다. 여기저기 부서지고 변형됐으며 일부는 손실된 골격을 현재 ...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철은 경도나 강도가 약한 편이다. 만약 아이언맨의 슈트가 순수한 철로 이뤄졌다면 지구를 구하기도 전에 박살 났을 것이다. 강철은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합금이다. 강도, 연성, 자성, 내열성 등 철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인위적으로 향상시킨 ‘하이브리드 철’이라고 할 수 있다. 대개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않다는 지적이 있다. 리튬이온전지의 핵심 소재인 리튬과 코발트 등은 희귀금속이다. 지구에 극소량만 묻혀 있는 금속을 채굴하기 위해서는 채광 활동이 필요하고, 이를 다시 고순도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환경이 파괴되기도 한다. 또 ...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NASA가 자기 복제 로봇에 주목한 이유는 우주 기지 건설에 필요한 수많은 로봇을 지구에서 모두 데려갈 수 없기 때문이다. 로봇이 고장났을 때 이를 수리하거나 고장난 로봇을 대체할 새로운 로봇을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인간의 뇌에 해당하는 컴퓨터 칩까지 똑같이 복제하는 것은 무척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있는 것이죠. 지구 자기장을 연구하는 미국해양대기청의 아너드 출리앳 연구원은 “지구 자기장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빨라지면 선박 항해 등에 큰 영향을 줄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스토리 따라잡기 “아이고, 이걸 언제 다 치운담?”꿀록 탐정의 머리가 지끈거렸어요. 편히 쉬려 했는데 종일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세계로 나가고 싶다는 충동을 느끼는 유일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결국, 앨빈은 한때 지구의 여러 도시를 잇고 있었을 교통망을 발견합니다. 그리고 망설이지 않고 다이어스퍼를 떠나지요. 처음으로 바깥 세계로 나간 앨빈은 그곳에도 인간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이들은 다이어스퍼의 ...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피블스 연구원을 포함한 디키 교수팀은 이들과 잡음의 정체를 살폈고, 결국 이 잡음은 지구 내부가 아닌 외계에서 온 빛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피블스 연구원은 이 빛이 우주의 전파원이나 누적된 별빛의 흔적이 아니며 우주흑체복사로 설명해야 한다는 내용을 이론적으로 정리해 1965년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