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하지만 수학이 왜 필요하며 역사 속에서 수학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알려준다.수학은
인류
문화의 흐름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시간을 표시하는 방법, 지도를 만들고 바다를 항해하는 방법, 건축과 예술뿐 아니라 휴대전화와 컴퓨터 분야에서 보듯이 수학은 모든 분야의 핵심이었다. 하지만 ...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연구센터는 전통의학지식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면서
인류
에게 이로운 새로운 물질을 찾는 좋은 길잡이라고 본 것이다. 이곳 사람들이 배 아플 때 먹었던 약초의 성분을 연구한다면 획기적인 신약을 얻을지도 모른다. 무턱대고 찾는 대신 이 지역에서 천 년간 살며 쌓아온 ... ...
인간을 품은 거대한 요람, 숲의 위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 해에 68t이나 되는 먼지를 걸러낸다. 수많은 동식물을 길러내는 요람이기도 하다.
인류
는 숲으로부터 생명을 이어주는 먹을거리와 튼튼한 목재도 얻어왔다.그런데 지구의 숨통이 조이고 있다! 숲이었던 곳에 풀과 나무가 사라져 사막처럼 변해버린 곳도 생겨났다. 가뭄이나 건조화 현상 같은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턱이 분리되는 수염고래는 입을 크게 벌려 많은 양의 먹이를 한꺼번에 쓸어 담는다. 반면 턱이 분리되지 않아 입을 크게 벌릴 수 없는 상 ... 형태가 서서히 변해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1000년이 지난 뒤 패스트푸드를 즐겨 먹은
인류
의 턱뼈는 어떻게 변화할지 상상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행위는 우주의 순리와 질서를 따르는 작업인 셈이다.염색약에 페디큐어까지 이집트 화장
인류
최초의 화장은 기원전 7500년 이집트에서 시작했다. 하지만 지난해 1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화장의 역사는 이보다 훨씬 전인 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 브리스톨대 ... ...
현실도피와 ‘가짜 철학적 경향’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어긋나니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에게 연로한 어머니가 생계를 위해 일을 하는 것은
인류
애에 어긋나지 않는 듯했다. 결국 필자는 그에게 초등학생도 다 아는 현실적인 이유, 즉 신경정신과 의사로서 왜 상담료를 받아야 하는지, 사람이 왜 일을 해야 하는지 등에 관해 설명해야 했다. 다행히 몇 ... ...
LED로 빛 만들고 합치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백열등을 발명해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바꾸기 시작한 이래, 수많은 전등이 등장해
인류
의 문명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 중 백열등보다 효율이 5배 정도 좋은 형광등은 우리 생활 속에서 주된 광원으로 지금까지도 꾸준히 사용한다. 모양도 다양해 일반적인 관 모양의 형광등 이외에 백열등 ... ...
주먹도끼를 찾아 떠나는 구석기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가지고 있다. 용곡인을 통해 한반도 후기 구석기 시대 사람의 모습을 추측할 수 있다.
인류
의 진화 모습도 살펴보고 구석기 시대도 탐험하고! 친구들도 전곡선사박물관으로 놀러 와~.전곡선사박물관국내 대표적인 구석기 유적지인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에 문을 열었어요. 주먹도끼는 물론 ... ...
전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노력이 필요하다. 또 역사와 사회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전력시스템공학은
인류
의 삶을 변화시키는 정책과도 연관돼 있으므로 넓은 시각을 갖고 있어야 한다. [전력시스템공학에서는 전기 생산을 비롯해 효율적이고 안전한 송전과 배전, 모든 과정을 연구한다.]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 ...
생명과학 - 육종과 유전자 재조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인류
는 농사를 짓고 가축을 사육하기 시작한 이래 끊임없이 더 좋은 농작물이나 가축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번 호에서는 육종의 의미와 함께 전통적인 방식과 현대적인 방식의 육종에 대해 살펴보자.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