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오르가슴을 느낄 때 대뇌가 활성화되는 모습을 연구하기 위해서라면 성행위 도중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이나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 있을까. 한때 심리학이 가장 관심 없어 하는 주제가 사랑과 행복이었던 것처럼, 과학은
인류
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에 너무 무관심했는지 모른다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갈라져 나온 이후로도 10만 년 이상을 야생에서 살았다는 뜻이다. 이런 개가 어떻게
인류
의 친구가 됐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가장 가깝고 친숙하지만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개를 통해 동물행동학에 입문해 보자. ‘네이처’ 미국편집자 출신의 과학저술가 스티븐 부디안스키의 ‘개에 대하여’는 ... ...
달리는 로봇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혀를 내 두른 사람들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분명히 ‘달린’ 건 아닙니다.지금까지
인류
가 만들어낸 기계 중 달릴 수 있는 건 인간형 로봇, 즉 두발 로봇뿐입니다. 우리나라에선 KAIST 오준호 교수팀이 만든 휴보가 유일합니다. 일본에선 혼다자동차가 만든 아시모, 도요다자동차가 만든 파트너가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케네디가 “마음으로의 달여행”이란 새로운 도전을 제창했다. ‘내부 우주’이자
인류
의 마지막 미개척지인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다. 미국 캘리포니아대(산타바바라) 심리학과 교수 마이클 가자니가는 ‘왜 인간인가?’라는 책에서 그 답을 우리의 ‘뇌’에서 ... ...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그 주인공은 영국의 수학자 알렉산더 커밍(1733~1814)이다. 그가 발명한 트랩 덕분에
인류
는 배설물 냄새로부터 해방됐고 상하수도보급과 더불어 수세식 변기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커밍 시대 이전에 변기는 어땠을까?당시 사람들은 화장실이 발달하지 않아 길에 볼일을 봤다. 길거리는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생명현상의 비밀을 간직한 유전자. 그러나 유전자는 정보일 뿐 진짜 일꾼은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모임인 ‘세계인간프로테옴기구(HUPO)’ 총회가 9 ... 원인과 치료법을 찾을 수도 있다. 단백질 백과사전은 앞으로 또 어떤 생명의 비밀을
인류
에게 알려주게 될까 ... ...
원전, 방사능, 에너지 총정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원전이 얼마나 한 순간에 위험에 빠질 수 있는지를 똑똑히 체험할 수 있었다. 원전은
인류
가 탄생한 이후 ‘안전하게 관리한다’는 말을 가장 많이, 자주 사용한 기술 중 하나다. 실제로 안전을 최우선시했겠지만 그래도 적지않은 사고가 있었고, 안전을 의심하는 숱한 ‘의혹’들과 싸워야 했다. 2 ... ...
Intro. 위기의 수학발명품, 수세식 변기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전염병으로부터 해방을 안겨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라 칭송받던 수세식 변기가 최근
인류
최악의 발명품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물낭비와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수세식 변기를 수학자가 만들었다는 소문이 있다. 소문의 진상과 위기의 수세식 변기를 구할 방법에 ... ...
과학적인 미래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줄이면서 안전하고 가장 유망한 기술. •우수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폭넓게 연구해
인류
식량난을 극복하고 싶음. 전반적으로 결론을 유도하는 과정이 조금 빈약했다. 분자 육종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하려면 분자 육종법으로 인해 생산성이 좋아진 실험결과 또는 우수한 품종을 ... ...
오라! 행복한 수학이 있는 강연장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거쳐야 했다. 이처럼 수학은 알지 못하는사이
인류
의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수학은
인류
의 숨은 영웅인 셈이다.9월 1일 숭실대에서 열린 수학대중강연에서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인 서동엽 수학대중화사업단장은 “21세기 사회 속에 수학은 소리 없는 영웅으로 자리 잡았다” 며 “수학의 가치와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