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이전까지 형광을 가진 유일한 포유동물로 알려졌던 미국 주머니쥐와 날다람쥐가 모두 야행성이라는 점에 주목했어요. 그래서 형광을 가진 다른 야행성 포유동물이 있겠다고 추측하고, 자외선으로 박물관에 보관된 포유류 표본을 검사하다 오리너구리를 발견한 거죠. 오리너구리는 야행성 동물로 ... ...
- [탐험대학] 날아라! 로켓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뒤져봤지만 결국 처음 발사한 로켓은 찾지 못했어요.다행히 이후에 날린 네 개의 로켓은 모두 회수했어요. 한 로켓은 바람 방향을 잘 맞춰서 발사한 곳으로 되돌아온 덕분에 회수가 쉬웠어요. 오후가 되면서 바람이 강하게 불어 마지막 로켓은 결국 발사하지 못하고 다음을 기약하기로 했지요.스스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화려한 색깔이 나를 감싸네, 신기한 셀로판지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통과시키는 게 특징인데, 젤리의 껍질이 바로 반투과성 막 역할을 한 거죠.세 개의 젤리 모두 바깥의 용액보다 젤리 속의 농도가 더 높아요. 그래서 농도가 낮은 용액의 물이 농도가 높은 젤리 속으로 이동하지요. 설탕물도 생수와 마찬가지로 젤리의 속이 바깥 설탕물보다 농도가 높지만, 설탕이 ... ...
- 베토벤, 내가 제일 잘 나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Q네트워크 이론으로 작곡가를 평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기존에 없던 새로운 것은 모두 창의적인 걸까요? 하지만, 키보드를 무작위로 쳐서 쓴 글이 창의적이지 않은 것처럼 아무렇게나 찍은 음표도 마찬가지예요. 저는 후대 사람들이 선대의 작곡가에게 얼마나 많은 영감을 얻었는지, 네트워크 ... ...
- 독감 백신 주사, 맞아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불안이 커졌어요. 그런데 지난 10월 24일, 질병관리청은 지금까지 신고된 사망 사례 모두 독감 백신 접종과 관련이 없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지요. 독감 백신 주사, 정말 맞아도 괜찮을까요? 어린이들이 가장 궁금해할 질문 3!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답해드립니다. Q1. 백신 접종 대표 부작용,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동물을 지키는 인조 가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가방의 몸통 부분을 구성하는 인조 가죽 세 조각을 가방끈으로 엮어 주세요. 가죽 조각을 모두 엮었다면, 이제는 가방 꾸미기 시간! 가방을 여닫는 덮개 부분에 난 구멍을 따라 실과 바늘로 꾸며 보세요. 삐쭉 빼죽한 형태와 꽃무늬 모양이 예쁘게 살아날 거예요. 마지막으로 가죽끈으로 가방 고리를 ... ...
- 내가? 아니, 뇌가 하는 생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귀여운 강아지를 보고(감각), 경험을 떠올리고(기억), 정서를 느끼는 것(감정) 등을 모두 포함하지요.뇌는 여러 감각(시각, 후각, 청각, 미각, 촉각)을 통해 주변 상황을 받아들이고, 이를 이용해 생각을 일으켜요. 예를 들어 볼게요. 눈으로 들어온 시각 정보는 시신경을 타고 뇌의 외측슬상핵을 지나 ... ...
- [시사과학] 티라노사우루스 화석 ‘스탠’, 무려 368억 원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턱 힘으로 먹이의 뼈를 부숴 먹었고, 민감한 청각과 후각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는 연구 모두 스탠의 두개골을 통해 이루어졌지요. 우리가 알고 있는 포식자 티라노사우루스의 모습 대부분이 스탠의 두개골 연구에서 비롯된 거예요. 공룡 화석이 비싸지면 고생물학자는 힘들어! 이번 경매 결과로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기계를 하나씩 가지고 다닐 것이라는 예측도 했죠. 그리고 100년 가까이 지난 지금 우리는 모두 주머니에 이 기계를 하나씩 넣고 다니고 있죠. 니콜라 테슬라 같은 상상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요? 여러분도 얼마든지 미래를 바꾸는 주역이 될 수 있답니다. 앞으로도 우리 뇌를 컴퓨터에 ... ...
- 노벨물리학상│아인슈타인도 반대한 블랙홀, 펜로즈가 증명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순간 빛조차 특이점으로 빨려 들어가 다시는 나오지 못하지요. 블랙홀을 이루는 질량은 모두 하나의 점에 모인 거예요.특이점은 물리학의 골칫거리가 됐어요. 부피가 0이기 때문에 밀도는 무한으로 커져요. 또 상대성이론에 따라 시공간도 무한히 휘며 시간이 더이상 흐르지 않아, 지금까지 알려진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