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찬가지"(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바깥쪽으로 칼을 움직이고, 두껍게 깎으려면 사과의 안쪽으로 칼을 움직이면 된다. 공도 마찬가지다(그림 3).❶번 상황은 공을 가장 두껍게 친 경우고, ❺번 상황은 가장 얇게 친 경우다. 즉 ❶번에서 ❺번으로 갈수록 두께는 얇아진다.❶번 상황은 앞에서 살펴본 대로 수구는 적구가 있던 자리에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구름 모양을 알면 높이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정신이 없다. 원래 알던 친구도 방학 동안 몸이 훌쩍 자라서 달라 보이기도 한다. 구름도 마찬가지다. 구름의 이름을 새롭게 아는 것만큼 끊임없이 변하는 구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세계기상기구는 1939년, 10가지 구름 유형을 27가지로 세분한 ‘국제구름도감’을 펴냈다. 이는 구름이 변하는 ...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뭐, 이 자리에서 자웅을 겨루자는 건 아니고요. 안타깝게도 저희는, 다른 분들도 마찬가지겠지만, 아직 문자를 발명하지 못해 정확히 언제부터 농사를 지었는지는 모릅니다. 다만 저희를 연구한 사람들은 2400만~3400만년 전이라고 추정하더군요.사회자: 말씀 도중에 끼어들어 미안합니다만 저기 개미 ...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동전은 표면의 흠집과 얼룩 사이에 금가루가 끼어 도금이 잘 되지 않았어요. 반도체도 마찬가지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먼지가 없는 클린룸(clean room)에서 만듭니다. 내일은 실제로 클린룸을 방문해 반도체 장비를 직접 다뤄보도록 합시다.”김 교수의 얘기가 끝나자 학생들은 ‘와∼’하며 다시 ...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지금까지 만든 로봇은 다른 기계장치의 부품을 빌려서 만든 것과 마찬가지”라며 “인공근육이 실용화된다면 로봇공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 봤습니다.사실 ‘인공근육’이라는 개념은 꽤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과학자들은 로봇이 아니라 사람의 몸에 이식할 목적으로 이런 ... ...
- 독창적인 주제를 꾸준히 탐구하라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자신감 등이 이에 속한다. 렌줄리는 과제 집착력 없이는 높은 성취가 불가능하다고 봤다. 마찬가지로 영재고나 과학고 입학전형에서도 수학, 과학에 대한 과제 집착력을 중요하게 평가한다. 영재고 입시 전형에서 ‘수학, 과학 분야에 있어서 지속적 관심을 갖고 활동해온 산출물’이라고 명시한 ...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한반도는 네안데르탈인의 활동 지역이 아니었다. 하지만 다른 아시아, 유럽 지역과 마찬가지로 현생인류가 진출해 이동한 경로에 위치해 있다.완전대체론에 따르면 현생인류는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통과한 뒤 남쪽해안선을 따라 계속 동쪽으로 나아가 약 3만~1만 2000년 사이에 황해(당시는 육지였다 ...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않은 상태임을 시사하는데, 이는 (잇몸처럼) 많이 연구되고 익숙한 미생물 환경에서도 마찬가지다.]배양 대신 DNA 증폭 이용데이비드 렐먼 교수는 인간과 미생물의 생태학을 연구해왔는데 주로 숙주와 병원체의 상호작용에 관심이 많았다. 인체에서 거주 미생물 때문에 탈이 많이 나는 곳이 입안이다. ... ...
- 세 남자와 로봇 이야기, 과학돌 JYJ수학동아 l2011년 03호
- 한다. 이들도 그때의 경험이 새록새록 떠오르는 것 같았다. 유천은 평범한 남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모형항공기를 좋아했고, 레고도 많이 가지고 놀았다고 밝혔다. 준수는 “초등학교 때 우주에 관심이 많아 한때 과학자가 꿈이었다”며 고무동력기와 관련된 슬픈(?) 사연을 전했다. 그는 우주를 가기 ...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바꿀 수 있을까? 개구리가 뒤로는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성공하기 쉽진 않을 거야. 마찬가지로 양쪽의 개구리가 1마리나 2마리일 때 또는 양쪽의 수가 다를 때는 어떤지도 직접 해 봐. 게임의 규칙성을 찾다 보면 논리력을 키우는 것은 물론 개구리를 옮기는 횟수를 나타내는 식도 세울 수 있을 거야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