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력"(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주황의 악당예찬4 - 스스로 진화하는 로봇 울트론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정보를 학습하 고,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보완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무시무시한 능력이다. 즉 ‘학습’을 통해끊임없이 발전하고 강력해지는 것이다.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같은 회사에서 개발하는 인공지능도 유사하다. 이 인공지능들은 ‘깊이 학습(deep learning)’이라는 기술을 ... ...
- 김주황의 악당예찬6 - 창 하나로 세뇌시킬 수 있을까 로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본래도 모습을 바꾸거나 숨기는 데 일가견이 있는 로키였는데, 다른 사람을 세뇌하는 능력을 얻게 된 것은 마치 관우가 적토마를 만난 것과 같았다. 문제는 영화 ‘어벤져스’에서 로키가 세뇌보다는 셉터로 강한 에너지를 쏘아 상대를 쓰러뜨리는 것에 더 심취했다는 것이다. 강력한 힘을 가진 형 ... ...
- 휴대전화 열로 다시 전기 만들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열전기 물질의 능력은 ‘ZT’라는 단위로 표현한다. 학자들은 이 물질들이 3ZT 정도 능력을 가질 때야 비로소 일상 생활 용품에 적용할 만큼 효율이 나온다고 말한다. 지금까지 발견했던 물질 중 가장 효율이 높은 물질은 납-텔루르 화합물로, 효율이 2.2ZT였다.연구팀은 주기율표 상에서 납과 비슷한 ... ...
- ‘유망주’ 싹 자르는 투수 혹사 잔혹사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할 수가 없거든요. 아무리 봐도 괴물이에요.”이 교수의 말대로, 모든 투수는 인간의 능력으로는 던질 수 없는 공을 던지는 괴물이다. 그것도 많으면 100여 개씩 던진다. 선발투수는 이런 식으로 한 시즌에 스무 번 이상 등판을 한다. 아마 야구도 예외가 없다. 박 교수와 이 교수, 김용일 LG 트윈스 ...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수학동아 l2014년 04호
- 한다. 또한 연구 보고서와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논리적 언어 표현 능력과 문서 작성 능력이 요구된다.■ 탐구적이고 현실적인 사람에게 적합하며, 분석적이고 독립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관련 학과국방과학연구원이 되려면 이공계 석사 이상의 학력을 보유해야 한다. 특히, 전기 ... ...
- 아리송한 투수 교체의 순간, 수학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자원 안에서 무작정 교체가 해답일 수는 없다. 따라서 적절한 투수 교체 시기는 감독의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다.미국 MIT의 컴퓨터공학과 존 구텍 교수팀은 이런 감독의 고민을 덜어 주고자 적절한 투수 교체 순간을 알려 주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 ...
- [hot science] 울퉁불퉁 지방으로 만든 가짜 식스팩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전문의나 심장충격기, 인공호흡기 같은 응급의료장비가 없다면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하지만 수술을 받는 당사자들이 수면마취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 국소 마취면 충분한 쌍꺼풀 수술 등에서도 많은 이들이 무섭다는 이유로 수면마취를 택한다. 국소마취를 ... ...
- [시사] 생생포착! 위기의 야생동물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애들레이드 대학과 제임스쿡 대학의 학자들은 멸종 위기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종의 능력을 지수화한 세이프(SAFE)지수를 만들었다.이 지수에 따르면, 멸종 위기를 벗어날 수 있는 최소 개체 수는 5,000마리이다. 연구팀은 이보다 개체수가 적다면, 갑작스러운 천재지변 등에 종이 몰살당할 위험이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우연히 X선을 발견했다. 당시 X선은 사람의 살을 뚫고 들어가 뼈를 볼 수 있는 놀라운 능력으로 일대 파란을 불러일으킨다. 그런데 X선이 볼 수 있는 건 뼈뿐만이 아니었다.1912년,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폰 라우에는 최초로 X선 회절 실험을 수행해 결정의 회절무늬를 볼 수 있었다. X선 회절무늬란 ... ...
- 수학 싫어하는 유전자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연구진은 일란성 쌍둥이 216쌍과 이란성 쌍둥이 298쌍을 상대로 수학 공포증과 읽기 능력, 이해력등을 조사한 뒤 일란성과 이란성 쌍둥이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수학 공포증을 느끼는 이유의 40%는 유전적인 소인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연구진의 스피븐 페트릴 교수는 “수학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