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력"(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병원성 바이러스를 비롯해 원충, 선충을 매개하는 능력이 다른 곤충보다 월등하다. 흡혈능력 때문이다. 모기가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된 뒤, 동물이나 사람의 피를 빨면서 자기 몸에 들어온 병원체를 쉽게 전달하는 것이다. 옮기는 병도 가지각색이다. 황열, 뎅기열, 치쿤구니아, 뇌염, 웨스트나일열, ...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단계에서 다른 사람보다 앞설 수 있는 것은 그 분야의 전문성이 아니라 전혀 엉뚱한 능력이에요. 그걸 책이 주죠.”가장 내세우고 싶은 업적을 물었다. 난감해 하더니 “부끄러운 연구는 많다”고 한다. 유학 시절 자신이 만났던 최고의 천재인 한 교수를 보며 학문에 좌절을 느끼고 공부를 포기할까, ... ...
- 즐거움은 더하고 창의력은 곱하고 2014 온라인수학게임대회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제5회 과천과학관 온라인수학게임대회’는 전국 초등학생 3~6학년 학생들이 수학 능력을 겨루는 대회다. 학년별로 각각 선착순 2만 5000명씩 총 10만 명이 참여한다. 대회 참가자는 연산, 측정, 확률과 통계, 도형, 비와 비율과 같이 5개 영역별로 마련된 다양한 수학 게임을 자유롭게 선택해 대회에 ... ...
- 게임으로 알아보는 컴퓨터의 역사! 넥슨컴퓨터박물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수 없는 직업이다. 그렇다면 아키비스트는 어떤 일을 하고 아키비스트가 되려면 어떤 능력을 갖춰야 할까? 넥슨컴퓨터박물관 유광민 아키비스트에게 직접 들어 봤다.★아키비스트란 어떤 직업일까?아키비스트는 지속적으로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 기록물인 ‘아카이브’를 수집하고 ... ...
- [Life & Tech] 한여름에 더운 바람이 솔솔~ 제습기의 불편한 진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덜 먹고 제습도 잘한다는 건 거짓말이다! 물론 이론적으로는 제습기의 소비전력 당 제습능력이 에어컨보다 우수하다. 김용찬 고려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같은 전기에너지를 에어컨은 냉방과 제습에 나눠 쓰고 제습기는 제습에만 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제습기는 그럼 아예 쓸모가 없다는 ... ...
- 동물세계반장선거 내가 진짜 리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모두 암펄인데, 여왕벌의 턱에서 나오는 ‘QMP’라는 페로몬 때문에 일벌의 알을 낳는 능력이 사라져요. 그런데 여왕벌이 사라지거나 너무 늙어서 페로몬이 없어지면 일벌이 자신의 알을 낳고 그것만 돌보기 시작하지요. 그러면 무리의 질서는 엉망진창으로 변한답니다. 여왕벌은 ‘거기 있는 ...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쉽게 혼동할 수 있는 개념으로 인공지능이 있다.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학습, 추론, 이해능력 등을 인공적으로 실현한 기술을 일컫는다. 생명과 관련된 현상은 인공생명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학습과 관련된 부분은 인공지능 개념으로 봐야 한다.따라서 영화 속에서 옵티머스 프라임이 인류를 지키기 ...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사실이었다. 처음 넣어준 줄기세포는 곧 사그라들고, 대신 주변에서 돌아다니던 재생능력 좋은 간세포들이 몰려들어 복구에 참여했다. 줄기세포가 ‘오지랖 넓게’ 손상된 부위에 필요한 세포들을 여기저기서 끌어모은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우리 몸은 면역력을 높이는 세포와 낮추는 세포가 ... ...
- 한의원에서 초음파 검사도 한다고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 결과를 과학적으로 판단하는 능력 이외에도 공감 능력이나 환자의 상황에 대한 이해력이 매우 중요해요. 원인이나 치료 방법에 대한 과학적 메커니즘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질병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을 여전히 돕고 치료해야 하기도 하고요. 게다가 우리는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치료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전구세포는 여러 차례 세포분열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앞으로는 이 전구세포를 대상으로 직접교차분화 연구가 더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미래에는 직접교차분화 기술이 대세 야마나카 교수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처음 발표한 2006년 논문은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