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불꽃방전을 일으켜 공구나 그 밖의 내마모성을 요하는 기계부품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것
관측
상 방추상으로 보이는 은하계 성운의 하나 나사선성운〔渦狀星雲〕은 전체적으로 원반형이므로 이것을 옆에서 보면 방추상으로 보인다이런 위치에 있는 은하계성운은 머리털자리의 NGC 4565 등이 대표적인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斷續式氣壓計)라고도 한다기구(氣球)에 발진기를 장치하여 상층의 대기를
관측
하는 레윈
관측
을 할 때 사용되는 기압계이다바로스위치는 지침(指針)이 달린 아네로이드 기압계, 접점판(接點板)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점판에는 여러 개의 접점이 배열되어 있다안정된 화합물에서는 산화수가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일어날 무렵 먼 바다에서부터 1~2m 높이의 너울성 파도가 몰려오는 모습이 여러 곳에서
관측
됐다. 심지어 전북 군산, 충남 서천 등 중부 서해안 일대에서는 어선이 전복되는 피해를 입기도 했다.그럼 왜 보령 앞바다에 있는 죽도에서 피해가 특히 컸을까. 지형적인 특징에 원인이 있지는 않을까.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또는 함수의 집합이다F W 아르켈란더가 독일의 본 천문대의 지름 72mm 망원경을 사용하여
관측
가능한 모든 항성의 위치와 밝기를 기록한 성도와 성표 1859~86년에 걸쳐 출판되었다 경도(經度)를 기산(起算)하는 기점이 되는 자오선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므로 그리니치 자오선이라고도 하며 보다 ... ...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되면 구경이 3만 6000km에 이르러 지구보다 더 큰 망원경이 탄생한다. 한일우주전파
관측
망을 비롯한 한일 공동연구는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VLBI)으로 가는 밑거름인 셈이다.활동성 은하핵*초대형 블랙홀로 대량의 물질이 유입되면서 보통 은하핵보다 강한 빛과 제트(빠른 속도의 물질 분출)를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성단은 지름 5cm의 망원경으로
관측
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거의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그러므로 성운 · 성단을 표시할 때는 메시에의 이름에서 M과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DNA 사슬 중 한쪽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망원경, 61cm · 46cm의 굴절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
관측
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곡선 벨기에의 수학자 P F 베르하르스트에 의해 1838년에 제안되었다 그는 인구증가 과정을 설명하는 ...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떠오르는 시점이라
관측
하기 좋다.게다가 달은 전날 밤 8시 44분 쯤 지기 때문에
관측
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5월 10일 달과 화성의 랑데부10일 초승달과 붉은색 화성이 밤하늘에서 나란히 행진한다. 해가 진 뒤 서쪽하늘을 보면 초승달과 붉은색 화성이 나란히 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밤 11시 쯤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즉 키토라 고분의 성도가 고구려의 성도 전통에 큰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과 성도의
관측
기준이 고구려의 수도인 평양 부근이었다는 점을 밝혔다.그는 동아시아 천문학과 성도의 전통을 다룬 수많은 강연과 인터뷰, 그리고 논문을 통해 일본에 영향을 준 고구려 천문학의 전통을 알려왔다. 수년 전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ISS에서도 지난 10년간 치명적이지 않지만 작지 않은 사고가 간간히 일어났다.2003년 태양
관측
사상 세 번째 규모의 초강력 자기폭풍이 태양에서 일어나 당시 ISS에 머물던 우주인 2명이 방사선 차단시설이 가장 잘된 즈베즈다 모듈로 긴급 대피했다. 2006년 9월에는 ‘엘렉트론’이란 러시아제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