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고
고찰
심사숙려
심사숙고
참작
숙려
묵상
d라이브러리
"
고려
"(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젊은 분야’인 그래핀에 돌아간 것은 이런 과학계와 공학계의 기대와 염원을
고려
한 것이 아닌가 싶다. 다만 그래핀의 특성을 분석한 가임 교수와 노보셀로프 박사 외에, ‘2차원 결정 구조인 그래핀에서 전하는 질량이 없다’는 연구 결과를 2005년 ‘네이처’에 게재한 김필립 미국 컬럼비아대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부위별로 땀이 나는 양과 패턴을 체크하고, 달릴 때 인체가 받는 공기의 저항과 흐름을
고려
해 부위마다 다른 소재를 사용한다. 아디다스는 클라이마쿨 원단에 플로우맵핑 기술을 적용한 소재를 개발했다. 클라이마쿨과 플로우맵핑을 결합한 유니폼은 마치 굴뚝 안에서 공기가 위로 이동해 ... ...
탄탄한 기초가 가져온 빛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필자가 광학 분야에 입문한지 벌써 10년이 됐다. 처음 이 분야에 발을 들인 이유는, 학부시절 응용기술보다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고 근본 원리를 ...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고려
대 세종캠퍼스 전자및정보공학과에 조교수로 있다 ... ...
[물리]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자속은 Φ =BAcosθ이다.이 모형을 이용해 유도기전력의 방향을 찾을때는 자속의 방향도
고려
해야 한다.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도선의 감은 수와 자속의 시간 변화율에 비례한다. 자기장 속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받는 힘균일한 자기장이 있는 공간에 자기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높은 별에서 행성이 많이 발견됐다.인류가 가서 살 수 있는 행성 후보를 선정하는 데
고려
해야 할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행성까지의 거리다.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면 그곳까지 가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태양과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는 별에서 지구와 비슷한 환경의 행성을 찾는 것이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벌어진다면 두 집단을 인류라는 한 종으로 인정할 수 있을까.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고려
해야 할 게 많다. 그 중 하나가 토착생물이다. 인류가 이주하기에 적당한 행성을 발견했는데 그곳에 생명이 진화해 살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행성을 지구처럼 개조한다면 생태계가 전히 바뀌어 토착생물은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가장 좋다. 3~4주 동안 적당히 익힌 후 더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기 위해서다.이런 점을
고려
해 조선시대 농민들의 할 일을 읊은 ‘농가월령가’에서는 겨울이 시작되는 음력 10월 무렵에 김장을 담글 것을 추천하고 있다. 김연옥 전 이화여대 교수는 자신의 저서 ‘한국의 기후’를 통해 지역별로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것만으로 추운 겨울을 예상하긴 어렵다. 하지만 다양한 관측결과나 올해의 기상 변화를
고려
하면 추운 겨울을 대비해야 한다는 예상을 충분히 할 수 있다.수학Q1. [정교성, 독창성] 삼각형 ABC를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삼각형으로 분할하려고 한다. (가) 꼭짓점 A, B, C를 제외하고 나머지 ... ...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내부의 지진파 속도 변화를 통해 추정한 물질의 종류와 용융점 분포, 온도 분포 등을
고려
할 때, 유동성을 지닐 것으로 추정되는 구간이 두 군데 발견된다. 하나는 맨틀 내 부분 용융 상태의 연약권이고 또 하나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외핵이다. 외핵의 경우 온도가 충분히 높아서 물질의 구성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태양 극자외선의 강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진 것에 기인한 바가 큰 셈이다.하지만 이를
고려
한다고 해도 열권의 밀도를 낮춘 나머지 50%의 원인은 설명할 수 없다. 어쩌면 우리는 아직까지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기체의 메커니즘을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지표에서 방출된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