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논술 - 통큰 치킨과 게임 이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두 죄수는 함께 침묵하면 1년씩만 복역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의 결과는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만을 최대화할 경우, 둘다 5년씩 복역하는 결과를 얻는다. 1) [난이도 하] A, B 두 회사가 유전 개발 사업에 뛰어들었다. 유전의 개발 가치를 계산하기 위해 석유의 매장량을 측정했더니 모두 ...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수학동아 l2011년 02호
- 평면 모서리까지의 거리는 1.11이다.그런데 윷은 굴리거나 던질 수 있다. 허명회 고려대 통계학과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곡면이 위를 향하는(윷이 엎어지는)비율의 경우 윷을 굴릴 때는 반원 윷은 57%, 실제 윷은 59%인 반면, 던졌을 때는 반원 윷은 37%, 실제 윷은 33%로 크게 차이가 났다. 이런 차이는 ... ...
- Part 2. 5년간 성장한 왓슨 vs 제퍼디 퀴즈 영웅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왓슨은 다른 참가자와 같은 시험을 거쳐 제퍼디 출연을 확정지었다.임해창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왓슨이 퀴즈에 출제될 분야의 정보를 모두 알고 있다면 우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람이 슈퍼컴퓨터의 정보력을 따라잡지는 못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임 교수는 “출제범위가 정해지지 않은 ...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강력하게 지구공학을 부정하는 이유는 뭘까. 만약 지구공학을 수행한다면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살펴보자. 1 강우패턴을 비롯한 지역 기후가 변한다1991년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이 폭발한 뒤, 세계 곳곳에서는 강수량과 토양습도, 강의 수량이 줄어들었다. 인위적으로 햇빛을 가릴 경우 ... ...
- Part 3. 백신 접종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구멍을 낸 것으로 보인다”며 “그 결과 폐에 물과 혈액이 찼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1918년 스페인플루나 2003년 사스도 그랬지만 새로운 바이러스가 출현하면 청장년층이나 어린이에 더 치명적인 경향이 있다”며 “병원을 찾은 신종플루로 사망할 ...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전투기의 비행기 날개 밑에 붙이는 미사일이나 폭탄, 예비 연료탱크까지 전파의 반사를 고려해 만들 수는 없다 보니 이런 장비를 모두 전투기 몸체 속으로 집어넣고 필요할 때만 꺼내 발사 할 수 있는 장치도 갖춰야 한다.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스텔스기를 만들 수도 있다. 저온 플라스마를 ...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새는 몸 뒤쪽을 볼 수 없다. 위치와 방향을 결정할 때 뒤따라오고 있는 동료의 움직임은 고려하지 못한다. 하지만 물고기는 몸 측면을 통해 물의 흐름 등 유체역학 신호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좌우와 상하 모든 방향의 정보를 수집해 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이동할 때도 새보다 패턴이 ... ...
- 서류와 캠프 두 마리 토끼잡기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한다. 통합 평가란 여러 가지 전형요소를 각각 점수화하지 않고 모든 전형요소를 동시에 고려해 총체적(holistic)으로 평가한다는 뜻이다. 과거에는 과학고 입시에서 ‘내신 총점 170+구술면접 25+수상 가산점 5점’과 같은 형태로 총점을 합산해 합격자를 선발했다. 하지만 이제는 내신성적을 절대적 ...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다강성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물질 구조의 대칭성과 전자 스핀 사이의 상호 작용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1894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피에르 퀴리가 처음 이론을 제시했으며 1960년대 구소련 과학자들이 좀 더 체계적인 이론을 세우고 실험을 시작했다. 하지만 이때 발견된 다강체는 종류도 얼마 안 됐고 ...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때문에 성장속도가 늦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성근 교수는 “비소의 불안정성을 고려하면 성장속도가 10%도 안 돼야 하는데, 60%라는 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뜻”이라며 “그러기 위해서는 박테리아에 비소화합물을 보호하는 메커니즘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또한 비소 박테리아는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