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피
뉴스
"
혈액
"(으)로 총 2,254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성호르몬이 천식 발병률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8
것을 알아냈으며, 이 세포 그룹은 정상인보다는 천식 환자, 남성 환자보다 여성 환자의
혈액
속에 많이 존재함을 밝혀냈다. 하지만 ILC-2세포 그룹의 숫자가 많다 해서 여자가 천식에 강한 것은 아니었다. 연구팀은 사람과 쥐의 ILC-2세포 그룹에 난소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 ... ...
[카드뉴스] 많이 먹을 몸이 아니다 그런데 많이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8
분비되면 살이 급하게 찌게 됩니다. 인슐린이 잘 작동하지 않는 당뇨병 환자라면
혈액
속 과다한 포도당이 혈관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섬유소(채소류)를 너무 많이 먹으면? 가용성 섬유소를 좋아하는 장내 미생물이 과도하게 발효를 일으켜 장 안에 메탄 가스가 급격히 많아집니다. 배가 꽉 찬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 해독도 오픈소스 바람 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액체생검’은 최근 생태학 분야를 혁신하고 있다. 액체생검은 초기 암 환자의
혈액
속에서 정상 세포의 DNA 수만 개당 한 개 비율로 섞인 암세포의 DNA를 찾아 해독하는 기술이다. 올해 7월 세계경제포럼(WEF)과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이 공동 선정한 2017년 10대 신기술로 꼽혔다. 마크 ... ...
핏기 없는 유령 같은 심장 ‘화제’
팝뉴스
l
2017.11.15
제공 트위터 등 해외 SNS에서 주목의 대상으로 급속히 떠오른 이미지다.
혈액
이 완전히 사라진 인간의 심장 모습이다. “유령 심장”이라 불린다. 창백하다고 할까. 투명한 느낌도 준다. 사진은 미국 휴스턴에 있는 성누가성공회병원의 텍사스 심장 연구소를 이끄는 도리스 테일러 박사가 촬영한 ... ...
[카드뉴스]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이상 초래해 부정맥 발생 피: 피를 끈적끈적하게 만들어 각종 질병을 일으킴 태아:
혈액
순환이 안 돼 태아에 영양공급이 어려워지고 성장 방해 피부: 모공 속으로 들어가 모공을 넓히고 피부염, 아토피를 일으킴 ● 미세먼지 대비 방법 1. 외출 시 황사마스크 사용 2.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 ...
[과학&기술의 최전선]“3,4년 뒤 100달러로 내 모든 DNA 한눈에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유전체 해독 비용이 일반인이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저렴해지는 것과 함께
혈액
속에 들어있는 극미량의 질병 관련 유전체 물질을 잘 찾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마흔살 게놈 해독 기술의 숨가쁜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혁신이 일어났다. 30억 쌍에 이르는 게놈을 한 번에 읽어낼 수는 없어서, 여러 사람의
혈액
세포에서 얻은 DNA를 잘게 잘라 부분적으로 해독한 뒤 다시 합쳐 한 명 분량을 만들었다. 1980, 1990년대부터 세 번째 혁신이 일어났다. 생어의 기법은 빠르고 정확하지만 한 번에 강 하나에서만 해야 하는 ... ...
가족 간의 유전질환이 궁금하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7.11.08
마이크로 RNA가 검출된다면 당장 치매 증상이 없더라도 앞으로 발병 가능성이 높다.
혈액
속 극미량의 마이크로 RNA를 찾아내기 위해 증폭 과정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한번에 증폭할 수 있는 마이크로 RNA 수를 획기적으로 늘렸다. 형광 물질 대신 친수성 고분자 물질인 하이드로젤을 이용했다. 형광 ... ...
아토피 피부염이 스트레스 늘려
과학동아
l
2017.11.03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연구팀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실험쥐의 피부와 뇌,
혈액
에서 스트레스 호르몬과 생체리듬을 조율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을 분석했다. 실험 결과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코스테론은 증가한 반면 멜라토닌의 양은 감소했다. 아토피 피부염이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 ...
박테리아와 자석 입자로 나노 변신 로봇 개발... 고성능 약물 전달체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7.11.01
막스플랑크연구소 제공 길이가 머리카락 굵기의 50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작지만,
혈액
안의 환경에 따라 추진 세기를 바꿀 수 있는 정교한 초소형 ‘나노 변신 로봇’이 한국인 로봇 공학자에 의해 개발됐다. 몸 속 구석구석에 약물을 실어 공급하는 차세대 약물전달체로 활용할 수 있을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